이처럼 충남도청 사후 활용방안에 시민들의 관심이 모아지는 것은 이 문제가 원도심 활성화는 물론 대전의 역사적 상징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충남도청 건물은 이미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건물일 뿐 아니라 도청에서 대전역에 이르는 지역일대가 근대도시 대전이라는 상징적 공간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충남도청에 어떤 시설이 들어오느냐 하는 문제는 대전이라는 도시의 상징성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지금 충남도청 부지 활용방안의 가장 큰 걸림돌은 재원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내포신도시로 옮겨가는 충남도청도 이전 비용의 국비 확보 문제가 순조롭게 풀리지 않고 있어 과연 순탄하게 대전시로 이관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전하는 충남도청 부지가 대전시로 이관될 수 있도록 국고 등 재원 확보가 지금으로서는 가장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다른 시·도에서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지역의 정치권을 중심으로 총력대응에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절박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재원확보 문제와 함께 충남도청 터 활용 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을 취합하는 과정도 좀 더 폭넓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빼놓을 수 없다. 지금 충남도청 문제를 보는 시각은 천차만별이다. 향후 충남도청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와 원도심 활성화 문제 등이 첨예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의 견해와 상인들의 생각이 다르고 문화예술인들과 자치단체의 보는 시각 역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입장 차이는 어떤 측면에서는 자연스런 일이기도 하겠다. 그러나 충남도청의 사후활용 방안은 대전의 상징적 공간이라는 관점에서 좀 더 많은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