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상 노숙자들은 다른 취약계층보다 면역력이 떨어져 발병이 잘 되고 결핵관리도 어렵다. 제때 치료하고 관리할 만한 여건과는 전혀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더 문제는 결핵은 전염되기 쉽다는 점이다. 이들 개인의 건강과 사회적 안전을 위해서도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절실하다.
지금의 허술한 노숙자 결핵관리 실태는 당연히 개선돼야 한다. 노숙자의 정확한 유병률 통계조차 확인할 수 없는 것이 지역의 현실이다. 서울 등 다른 지역 사례를 통해 일반인보다 10~20배 정도 높다고 추산할 뿐이다. 게다가 국내 결핵 발병률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일본의 4배, 미국의 22배에 이른다. 결핵에 대한 관심이 더더욱 필요한 이유다.
특히 노숙자에 대해서는 검진에서 결핵 진료비 전반에 걸쳐 국가 지원을 확대해야 함은 물론이다. 먼저 지자체와 결핵협회 이동검진팀 등을 주축으로 합동 검진 등을 실시하는 것이 순서다. 결핵 환자로 판명되면 병원에 신속하게 연계해주는 체계도 뒤따라야 한다. 현행 결핵예방법상 강제 입원 규정도 있지만 인권상의 이유로 치료를 강제할 수 없다는 한계도 있다.
하지만 이들이 결핵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것도 바로 인권이다. 이런 차원에서 열악한 노숙자 결핵관리 실태는 당연히 개선돼야 한다. 발견된 결핵환자에 대해서는 전원 치료가 보장돼야 하며 치료 이후의 재활 프로그램까지 지원해야 할 것이다.
지역에서도 치료 성공률을 높이려면 서울처럼 결핵집중관리센터를 구축 운영해 지속적인 치료를 받게 해야 한다고 본다. 치료 후 재노숙을 예방하고 지역사회 정착을 지원하려면 주거형 결핵관리시설이 꼭 필요하다. 노숙자 등 취약계층을 외면하지 말고 국가와 사회가 손을 내밀어야 할 때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