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이달 말 설립예정인 대전복지재단의 대표이사로는 대전시 행정부지사 출신으로 행정도시건설청장을 지낸 정진철씨가 내정돼 임용절차를 밟고 있다. 정 내정자는 오랜 행정관료 생활과 지역과의 소통에도 익숙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7월에는 대전시티즌 사장에 김광희 전 대전시 정무부시장이 선임돼 민선5기 들어서서 대전시 산하기관에 3명의 광역시·도 부단체장이 선임되는 인사가 이루어졌다.
광역자치단체의 산하기관에 부단체장이 선임되는 사례가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인사는 그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가 발탁되는 것이 당연한 것이고 부단체장의 경우 조직을 통솔한 경험은 물론 자치단체와의 유기적인 관계에도 적임자라는 장점을 지니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민선5기 들어 대전시 산하기관·단체에 대전시 부시장과 충남도 부지사를 지낸 고위급 인사가 대거 포진한 것은 그간의 인사 관행으로 볼 때 이례적이라는 느낌을 지우기 힘들다.
부단체장 출신 기관장이 갖는 장점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산하기관과 단체는 그 나름의 특성과 전문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과 전문성을 가진 인재는 그 분야에서도 나름대로 찾을 수 있다는 생각을 시민들은 갖고 있다. 만일 그런 인재를 찾지 못했다면 '지역인재 육성'이란 측면을 재점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가 실시되면서 지역에서는 말끝마다 '지역이 살려면 지역인재를 키워야 한다'고 되뇌었다. 그럼에도 단체장이 바뀔 때마다 자치단체 산하기관 인사에서 적잖은 논란이 빚어진 것은 대부분 인사에 따른 잡음에 기인한 것이다. 그때마다 지역의 인사를 키우지 않는다는 지적도 제기돼 왔다. 이제는 정말 지역의 인재를 기르는 시스템을 정립하고 지역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인사제도가 확립돼야 한다는 게 시민들의 생각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