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기초과학연구원 설립과 운영에 대한 정책포럼'에서 김명환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장은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이 과학기술특성대학 중심으로 구성되는 것은 연구 수월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며 “과학기술특화대학 소재지가 아닌 지역의 대학과 연구소는 우수역량을 갖췄음에도 엄청난 차별을 받게 됐다”고 지적했다.
정부 안에 따르면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연구단은 거점지구인 대덕특구와 광주, 경북권(대구·울산 포함)에 집중적으로 들어선다. 과학기술계는 이 같은 배분을 과학벨트 입지 경쟁에서 탈락한 지역에 대한 배려로 해석하고 있다.
대덕특구는 KAIST와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광주의 경우 광주과학기술원(GIST), 경북권에서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 IST), 포스텍(포항공대), 울산과기대(UNIST) 등이 중심이 되며 각 지역 연구단들은 클러스터 형태로 이른바 '연합 캠퍼스'를 구성한다. 연구단 수는 대덕단지에 약 25개(본원 15개+KAIST 10개), 경북권의 DUP(DGIST·UNIST·POSTECH) 캠퍼스에 약 10개, 광주 GIST에 약 5개가 배정될 예정이다.
김 학장은 “이 같은 캠퍼스 연구단의 비중을 줄이고 전국 우수 대학들이 참여하는 '외부 연구단' 수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에 미리 안배된 숫자에 얽매이지 말고, 연구단 선정 과정이 연구 수월성을 절대 기준으로 투명하게 진행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윤민중(아시아 오세아니아 광화학연합회 회장) 충남대 교수 역시 “과학기술특화대학들은 물리·화학·생물 등 기초과학보다는 응용·공학계에 치우쳐 있다”며 “이런 공학 중심 대학들이 25개 안팎의 기초과학 중심 연구단을 구성할 수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연구단 설립을 소수 과학기술특성대학이 직접 주도하고 추진하는 것 역시 기초과학연구원의 자율성과 독립성 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배문숙 기자 moon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