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엇이 달라졌나
2. 출범 2주년 평가
3. 앞으로의 과제
4. 전문가 제언
지역 문화예술계는 출범 2년을 맞은 대전문화재단에 대해 조직이나 예산규모 등 여전히 걸음마 단계라는 점에서 아쉬움을 드러내고 있다.
대전문화재단이 각종 문화예술관련 사업기금 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수십 차례 간담회를 여는 등 지역예술인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자금을 확대할 수 있는 사업, 지역의 특화 사업 개발이 아쉽다는 것이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 대전문화재단의 사업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한 것은 '지역문화예술육성 지원사업(이하 문예진흥기금)'이다.
문예진흥기금은 대전문화재단 출범 전까지 대전시 문화 예술과가 담당했던 업무로 한 푼이 아쉬운 지역문화예술계 종사자들이 1년을 준비하며 목을 매고 있는 예산인 만큼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배분을 요하는 사업이다.
이 때문에 지역 예술계에서는 재단 출범 당시 지역 문화예술계는 행정에서 하던 관련업무가 민간으로 이관돼 민-관 협력 체제로 전환,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문화예술행정을 펼치는 재단이 '민'인지 '관'인지 갸우뚱해 하는 예술인들이 많다.
문화재단이 담당하고 있는 문예진흥기금 사업은 매년 기금을 지원받으려는 단체 수는 늘고 있지만, 올해 문예진흥기금은 9억 5600만 원으로 지난해와 큰 차이가 없다.
시에서 벌였던 사업으로 그대로 이관해 시행하고 있는 탓에 별로 변화를 주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대전문화재단의 올해 예산은 순수 문화예술지원에 출연금, 위탁사업 보조금, 지정교부금, 문예진흥기금, 정부기금 등을 합쳐 64억 원으로 열악한 수준이다.
1000억 원 이상의 기금으로 한 해 수백억 원의 예산을 쓰는 경기문화재단이나 서울문화재단과 비교된다.
대전문화재단은 매년 40억 원을 적립해 2020년까지 500억 원 기금적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차질이 예상된다. 또한, 출범 당시 10명이었던 직원은 현재 두 배 가까이 늘어났지만 모두 2년 계약직으로 불안한 고용환경을 안고 있어 일 처리에만 급급하고 시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의 출연기관이지만 독자적인 업무 진행보다는 시의 관리감독을 받으며 자유롭지 못한 모양새를 띠고 있다.
이와 함께 재단의 독자적인 지역 특화사업 마련과 예산 및 기금확보는 가장 시급한 문제다.
대전 문화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 마련과 함께 기금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는 것이 지역예술계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어떤 사업에 얼마만큼 쓸 것인지 정확한 기금적립 로드맵 구축과 함께 대전만의 문화정책에 대한 고민과 연구가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조성칠 대전ㆍ충남 민예총 사무처장은 “문화재단이 기본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못 잡은 채 주어진 일에만 급급하다 보니 독창적이고 재단만의 특화된 사업안이 없는 것”이라며 “대전 문화정책에 대한 로드맵 구축이 되려면 그 전제에 예산과 인사의 독립성이 대전시로부터 확보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