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학은 그 대학 출신 졸업생들을 조교로 대거 선발했다고 한다. 상반기 조교 인력은 통상적으로 2월에 뽑지만 3~4개월 앞당겨 뽑은 것이다. 학교 측은 원활한 업무 인수인계를 위해서라고 설명하는 모양이지만 누가 봐도 교내 취업을 통해 취업률을 높이려는 편법이다. 다른 대학은 전임교원을 충원하면서 정년 트랙 교수 20%, 비정년 트랙 교수 80%로 선임할 방침이라고 한다. 비정년 트랙 교수는 강의, 학생지도, 학내행사 참여 등 정규 교수와 동등한 업무를 하지만 연봉과 처우는 정규 교수보다 떨어진다. 예산을 덜 쓰고 전임교원확보율을 높이겠다는 계산이다.
재정지원 제한이나 학자금대출 제한 대상으로 선정되면 대학 관계자와 학생들은 물론 동문들도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아예 문을 닫는 지경에 처할 가능성도 있는 만큼 대학으로선 부실대학으로 낙인찍히지 않도록 애쓰는 것이야 당연하다. 그러나 대학 발전을 담보로 한 뼈를 깎는 자구노력이 아니라 '소나기는 피하고 보자'는 식의 편법이라면 달라질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만약 비가 계속 내린다면 어쩔 것인가.
'반값 등록금' 문제로 촉발된 부실대학 구조조정은 아제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부실대학에 더 이상 국민 혈세를 낭비해서는 안 된다는 국민적 공감대도 형성돼 있다. 2015년이면 대학 정원이 수험생 수보다 더 많게 된다. 학생과 교육경쟁력을 위해서나 주변 환경을 봐서도 부실대학의 퇴출은 피할 수 없게 돼있다. 대학 스스로 학과 통폐합, 정원 감축, 학교재단의 재정 투입 확대 등 처절한 자기 혁신을 하지 않을 경우 고사(枯死) 수준으로 갈 수밖에 없다.
당장 살아남는 것도 필요하지만 먼 미래를 봐야 한다. 교과부의 선정기준이 불합리하다고 투덜댈 때가 아니다. 무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지역 대학들의 특단의 처방이 나와야 할 때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