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집값, 불안한 주식시장, 불투명한 경기에도 불구, 소자본으로 고정수익을 올릴 수 있어 도시형생활주택이 임대수익형부동산으로 각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부동산업계와 주택건설사들에 따르면 핵가족시대를 맞아 1~2인 가구가 급증하고, 은퇴자들 중심으로 적은 자금을 투자해 안정적 수익을 얻으려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도시형생활주택이 투자자들에게 인기 상한가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현재 우리나라에는 2인 가구가 420만5000 가구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인 가구인 것으로 집계됐다. 4인 가구가 우리나라의 가구 표준이 아니라는 얘기다.
여기에 임대사업자의 연령층이 낮아지며 임대수익형부동산이 각광을 받고 있다.
실제로, 최근 한 중앙언론이 서울 임대수익형주택 계약자를 상대로 조사한 결과 40대 이하가 60%를 차지할 정도로, 중년층과 노년층이 주를 이루던 임대상품시장에 20~30대와 주부층이 크게 늘었다.
비싼집을 사는 것보다는 임대수익형부동산 투자로 눈을 돌리는 젊은층이 많아진 것이다.
주택산업연구원 권주안 선임연구위원은 “투자자들이 경기가 호황일때는 위험성이 있어도 한꺼번에 큰 돈을 벌려고 하지만, 경기가 안 좋을 땐 안정성을 추구하려는 성향이 강해 임대수익형 부동산이 강세”라고 말했다.
도시형생활주택은 85㎡이하의 소형주택으로 버스나 지하철역 등 역세권에 위치한데다 세탁기, 냉장고, TV등 각종 편의시설이 구비돼 1~2인 가구들이 선호하고 있다.
국토해양부의 집계결과 올 상반기에만 총 2만9558가구가 도시형생활주택 건축허가 또는 사업승인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도입 첫해인 2009년 인허가 실적이 1600여가구, 지난해 2만5000여가구인 것을 감안하면 도시형생활주택이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 처럼 도시형생활주택이 급증하고 있는데는 정부의 각종 혜택도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국토해양부가 올해부터 도시형생활주택 사업승인 대상을 기존 150가구 미만에서 300가구 미만으로 늘린데다 도시형생활주택 기금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이자 마저 내리는등 대출 문턱을 크게 낮췄다.
주택임대사업 규제를 풀면서 투자성 또한 더욱 좋아졌다.
앞으로는 집 한채만으로도 양도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 걱정없이 임대사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 만큼 임대수익이 늘어나는 셈이다.
정부는 도시형생활주택 공급이 활기를 띄면서 침체에 빠진 주택시장에 윤활유 역할은 물론, 전세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전도 지역건설사들이 세종시와 인접한 유성구와 서구, 동구에서 도시형생활주택 분양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형건설사인 대우건설과 계룡건설도 도시형생활주택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시형생활주택이 서민들에게 인기를 끌면서 정부는 올해 도시형생활주택 목표물량을 당초 4만가구에서 6만가구로 2만가구 늘려 잡고 추가로 혜택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시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올 상반기 도안신도시 9블록을 비롯해 12, 14블록과 학하지구 2, 4블록 등이 입주하고 하반기에도 입주 및 분양 물량이 많아 지역의 주택, 전세시장은 하향 안정추세가 예상된다”며 “특히 1~2인 가구 증가로 도시형생활주택 및 다가구 건축이 늘어난 것이 올해 주택시장의 특징” 이라고 밝혔다.
목원대 부동산학과 정재호 교수는 “대전의 경우 지난해 300세대에 불과하던 도시형생활주택 물량이 올해에는 1000세대가 넘게 공급될 예정이다”며 “이는 건설기준 완화 등으로 사업자에는 비용이 적게 들고 사업기간이 짧은 반면, 투자자에게는 적은 금액을 투자해 안정적 수입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이 메리트로 작용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백운석 기자 bw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