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오후 2시 동구 자양동의 지적장애인 공동생활시설 '사랑의 집'.
성인 지적장애인 16명이 24시간 함께 생활하는 이곳에서 북소리 장단이 힘차게 울려 퍼졌다.
▲ 지난 9일 대전 동구 자양동의 한 지적장애인 생활시설에서 선보인 배달강좌제 ‘사물놀이ㆍ난타’ 프로그램. |
강사가 직접 '사랑의 집'을 찾아와 지적장애인과 함께 난타 연습을 벌인 게 오늘이 두번째 시간이었다.
'사랑의 집'의 마그레이스 수녀는 “배우는 속도를 일반인과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지적장애속에서도 난타를 익히고 취미를 익힐 수 있도록 학습기회를 가질 수 있어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대전시의 평생학습 시책이 배달강좌제를 계기로 장애인, 노약자, 저소득층까지 그 대상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그동안 동주민센터나 평생학습기관을 찾으려면 시간적·경제적 여유가 있어야 하고 정신적 또는 신체적 장애자는 평생학습의 혜택을 보기 어렵다는 굴레가 있었다.
올해 법인형태로 개원한 대전평생교육진흥원은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민간기구 등 지역내 분리된 평생교육체계를 연결하고 평생교육의 장기적 발전 계획을 수립하는 전문기관으로서 지역 평생교육분야 성장을 이끌어 갈 것으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평생학습의 성장과 확대에 앞서 프로그램과 참여자의 불균형 문제는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우선 대전지역의 수많은 평생학습 프로그램 중에서 취미교실과 생활체육의 문화여가 분야가 전체 프로그램의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공공기관형 평생학습기관의 프로그램도 문화여가 분야 프로그램이 전체의 52%에 달할만큼 특정분야에 편중돼 있다.
이는 7대 특·광역시 중 울산(57%)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비율이다.
반면, 전문직업 등의 교육훈련을 대행하는 지식인력개발 형태의 평생교육기관은 대전에 고작 12곳 위치해 있다.
서울 320곳, 인천 33곳, 광주 27곳 등과 비교할 때 턱없이 적은 수치다.
대전지역 평생학습 대상자의 남녀 성비도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자치센터, 문화센터 등 비형식 평생교육의 학습자 가운데 대전의 여성비율은 74%다.
이는 울산 69%, 광주 66%, 부산 62% 등 7대 특·광역시 중 가장 높다. 대전은 평생학습 강사의 여성비율도 울산에 이어 두번째로 높다.
대전인적자원개발센터가 2008년 발간한 '대전지역주민 인적자원개발 정책 수요조사 보고서' 결과 대전의 평생교육 기관 중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은 전체의 14%이며,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학습은 1곳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전시민들이 평생학습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또는 '근무시간과 겹쳐서'라는 응답이 전체의 40%였다.
충남대 교육학과 한상훈 교수는 “현재의 평생학습은 지자체, 교육청, 대학교 등 모든 기관에서 각자 중복적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각 기관의 역할분담과 함께 '노인과 여성, 저소득계층'까지 골고루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병안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