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히 균형발전이란 화두는 멀어졌다. 지역이 잘되고 지역민이 잘살아야 전 국민이 잘산다는 이 대통령의 언급은 바로 지역균형발전 당위론이다. 그동안은 지역균형 불가론 내지 무용론에 가까웠다. 지역 경쟁력 키워드는 녹색성장, G20, 무상급식, 복지, 글로벌 경제위기 등 여러 어젠다에 파묻히고 말았다.
이 대통령의 언급 중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등 유용한 내용도 들어 있다. “16개 시·도가 품앗이하듯이” 행정구역을 뛰어넘어 각종 국제행사를 치르자는 제안도 나왔다. 대전과 대구가 대전세계조리사대회와 대구세계육상대회 공조를 다짐한 것이 그 일례다. 시·도 협력은 각 지역의 특화된 장점을 교차 활용할 때 시너지를 낸다.
지금은 세방화(世方化)시대다. 지역의 발전은 글로벌시대에 순행하는 것이다. 세종시 건설과 공공기관 이전 역시 이 같은 기조에서 완성돼야 한다. 사실 지난 몇 년간 국가 경쟁력은 지역 발전과 무관하다는 인식마저 지배했다. 수도권과 지방이 공생발전하기에는 틈이 너무 벌어졌다. 수도권 관리정책을 지역균형발전과 연계해야 할 이유다.
그런 점에서 국격(國格)만큼 지방을 생각하는 '지격(地格)'도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져볼 때다. 이 대통령은 또 “규모의 경제가 가능한 광역화”의 필요성도 말했다. 각 지역의 문화나 산업적 특성을 감안한 광역경제권 사업 등으로 이를 내실화해야 한다. 수도권 기득권이 아니라, 지방 이익에 부합하는 정책이 안 되면 소용없다.
진정한 지역 경쟁력은 수도권과 경쟁할 정도여야 한다. 그러기 위한 지원이 절실하다. 가령 충남도의 내발적 발전전략도 “지역만이 가진 특성과 장점”만으론 한계가 있다. 지역균형발전도 낙후지역 지원 또는 지역 간 나눠먹기 정도로 인식해선 안 된다. 7년 전 대전정부청사에서 선포한 지방화와 균형발전의 기조가 지켜질 때 '더 큰 대한민국'은 공허한 슬로건이 되지 않는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