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각 지역 교육지원청과 우체국, 연구개발특구 지원본부, 한국석유공사를 비롯한 공공기관들이 전통시장에서 장보기를 하는 등 전통시장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급여 일부분을 원하는 직원에 한해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한 곳도 있고, 매월 마지막 토요일을 전통시장 가는 날로 정한 곳도 있다. 여간 고마운 일이 아니다. 시장상인은 물론 지역경제를 살리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명박 대통령도 추석 장보기는 전통시장을 이용해 달라고 호소하고 나섰다.
전통시장을 살려야 하는 이유는 지역경제의 기반이기 때문이다. 지역 기업과 농수축산인들이 생산한 상품 대부분이 전통시장에서 판매된다. 또한 점포도 대부분 지역에 거주하면서 경제활동을 하는 자영업자가 운영한다. 따라서 전통시장의 활기는 원자재를 공급하는 지역의 제조업과 농수축산업, 기초산업과 연계상권의 동반 상승으로 이어진다. 지역순환경제의 중심축인 전통시장이 건강하게 유지돼야 지역경제도 활력이 생긴다.
물론 추석과 같은 명절 대목에 반짝한다고 해서 전통시장이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런 노력이라도 해야 하는 형편이다. 당국의 행·재정적 지원에 힘입어 몰라보게 달라졌지만 전통시장을 찾는 발길은 크게 늘지 않고 있다. 직접 가서 달라진 전통시장을 경험해본다면 다시 또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이들이 늘지 않겠는가. 대전경찰이 한시적이나마 전통시장 주변에 주차를 허용하기로 하는 것도 다 그래서다.
요즘 '착한 소비'가 강조되고 있다. 이왕 하는 소비라면 이웃을 배려하는 소비를 하자는 것이다. 경제적으로 어렵기는 소비자나 상인들이나 마찬가지다. 전통시장 이용은 절약되지, 상인도 돕지 일석몇조다. 이번 추석엔 가족들이 인정미 넘치는 전통시장에서 차례상 준비를 해보자. 예전에 비해 훨씬 좋아진 전통시장을 느껴보았으면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