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 중구 유천동에 위치한 서부터미널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전면적인 리모델링에 나섰다./김상구 기자 ttiger39@ |
<속보>=회사의 대표이사가 언제 바뀔지 모를 상황에서 20억원짜리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간 서부시외버스공용터미널(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본보 3일자 7면 보도>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은 전체 주식의 77%가 공매에 부쳐진 상태이고 2006년 별세한 재력가 김희동 대표가 남긴 유산으로 사후 오랫동안 재산 상속분쟁을 겪었으며, 유성복합터미널사업에 따라 수년 내 터미널기능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현재 서부시외버스터미널(주) 전체 주식 중 77%가 국세청이 한국자산관리공사에 위탁해 공매가 진행 중이다.
2006년 별세한 김희동 전 대표가 남긴 유산으로 4년여의 소유권 분쟁을 거쳐 지난 해 7월 딸 김나연(51)씨에게 주식 77%, 아들 김광철(대전교통 대표)씨에게 20% 등으로 분할됐다.
하지만, 김나연 대표가 상속세 60억여원을 납부하지 못해 국세청은 김 대표의 주식 1만5420주(평가액 150억상당)를 공매에 부친 것.
그동안 공매에서 네 차례 유찰돼 주식의 가치는 100억원까지 떨어졌으며 오는 9월 재공매를 앞두고 있다.
당장 9월 공매 결과에 따라 서부시외버스터미널(주)의 대표이사가 바뀔 수 있는 상태에서 20억을 들여 터미널 리모델링에 나서자 주변에선 의아스럽게 보고 있다.
지역 운송업계 한 종사자는 “당장 회사 대표가 바뀔 수 있고 터미널사업권도 몇 년 내 반납해야 하는 곳인데 20억을 들여 리모델링하는 것을 업계에선 쉽사리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은 유성복합터미널이 조성되면 곧바로 터미널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을 안고 있다.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은 현재 연 탑승객이 37만명으로 정부청사 앞 둔산시외버스간이정류장 탑승객 64만명보다 적은 규모다.
시외버스 운송사업자들은 유성복합터미널이 마련되면 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 더는 차를 정차하지 않을 움직임을 보여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이 터미널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은 4년 이내로 관측되고 있다.
때문에 공매를 앞두고 대규모 공사를 벌여 공매 자체를 무산시켜 대표권을 지키려는 포석이라는 분석과 함께 오히려 오래된 건물을 개선해 투자자를 찾고 상속세 문제도 함께 해소하려 한다는 엇갈린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대해 대전서부시외버스공용터미널(주) 홍서권 상무는 “리모델링 후 상가임대를 통해 다양한 수익모델을 찾자는 의미이고 오래돼 불편을 낳던 터미널시설을 바꿔보겠다는 게 대표의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