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은 수도권전철 청주공항 연장노선의 이슈를 선점하고도 뒤늦게 뛰어든 연기군의 우회노선 안에 밀려 역전당하자 유치실패에 따른 논란도 분분해졌다.
국토해양부는 지역별 갈등으로 연기됐던 천안~청주공항 전철에 대해 기획재정부에 조치원역을 거치는 우회노선을 '국가철도망 구축사업' 예비타당성 대상사업으로 조사를 신청키로 했다.
따라서 천안이 제안한 신설노선은 사실상 물거품이 됐으며, 경북 문경을 연결해 중부 내륙의 물류 중심지로 육성하려는 계획도 상당 부분 차질을 빚게 됐다.
천안시가 청주까지 직선노선 유치에 실패한 것은 대외적으로 장기 철도계획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한데다 자치단체 간 공조에도 실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내적으로는 이슈 선점이라는 안이한 유치전략에 굼뜬 대응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우선 천안은 충청권철도(논산~대전~세종~청주공항)를 수도권 전철과 연결해 대전과 세종시 도심을 연결하려는 논리에 밀렸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4월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1조1708억원을 투입해 논산~청주공항 106.9㎞의 전철을 후반기(2016~2020년)에 착수하는 사업내용을 고시했고 대전권은 이를 이용해 도시철도 3호선 역할을 추진했지만 이에 대한 대응논리가 부재했다.
여기에 공주와 연기를 중심으로 세종시의 도시기반 시설과 지역개발사업이 촉구되면서 조치원역을 중심으로 X자형 교통 환승 체계 구축요구에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특히 그동안 천안의 직선노선을 지지해온 충북도가 최근 조치원 경유 우회노선 지지로 돌아서는 등 주변 자치단체와 공조체계를 제대로 이뤄내지 못한 것도 결정적 패착으로 지적된다.
대통령의 적극 검토라는 약속에 안주한 것도 불의의 '한방'이 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해 2월 충북도 업무보고에서 “천안~청주 전철 37㎞구간을 국토해양부가 적극적으로 계획에 포함시키라”고 지시했었다. 하지만 타당성 조사를 핑계로 약속은 결국 지켜지지 않았다.
여기에 자치단체별 유치전에서도 총력전이 이뤄지지 않았으며 뒤늦게 결성된 추진위도 조직구성에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지역의 이해와 요구를 총력화 시키기에 역부족이었다.
시 관계자는 “기본계획의 문경노선을 천안쪽으로 연결해 중부 내륙 물류를 서해안으로 추진하던 것이 경기 쪽으로 방향이 바뀌면서 상대적으로 탄력을 잃었다”며 “아직 우회노선이 결정되지 않은 만큼 천안의 요구안이 관철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천안=맹창호 기자 mnew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