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일자리 만들기에 쏟는 노력은 평가할 만하다.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서 올 상반기 동안 1만6800여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낸 것은 고무적이다. 특히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 육성으로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에 노력한 점은 두드러지는 대목이다. 자신의 일자리를 얻어 가족을 부양하고 세금을 내 사회적으로 공헌하는 시민이 늘어난다는 것은 시의 발전을 위해서도 좋은 일이다.
아쉬운 것은 대전시의 노력이 젊은층의 실업 해소엔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자리에 대한 기대수준은 높은 반면 이에 부합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청년실업이 우리 사회에 끼치는 악영향은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무엇보다 문제는 사회의 활력을 떨어뜨린다는 점이다.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찾아 지역을 떠나고, 남은 젊은이들도 실직 상태가 계속돼 장래에 대한 불안으로 결혼과 출산을 미루게 될 것이다. 고스란히 지역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게 뻔하다.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게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시가 기업지원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 전략을 촘촘히 세워야 하는 이유다.
물론 젊은층이 선호하는 대기업을 유치한다면 가장 빠르고 확실한 해법이 될 것이다. 하지만 대기업이 대전에 오려고 할지는 미지수다. 그렇다면 대전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을 펴는 게 급하다. 작은 기업에도 쓸 만한 일자리를 많이 만들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학교와 기업의 연계로 기업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도 필요하다. 직업 훈련과 연관된 공공 및 민간 프로그램도 더 활성화해야 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구인기업과 구직자 간 미스매치 등 왜곡된 인력자원 구성을 정상화하는 취업시스템 개선도 중요하다. 투자와 창업을 부추기는 구체적인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도 요구된다.
염홍철 시장은 앞으로 일자리 11만6000개를 만들겠다고 한다. 비록 실적엔 못 미치더라도 일자리의 질을 높이는 데 정책의 힘을 모았으면 한다. 최상의 복지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