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한 대전제가 있다. 기존의 대덕특구는 대전이 거점지구로 지정된 결정적 동인이라는 바로 그 사실이다. 연계 강화는 그래서 선택적 사안이 아닌 분리할 수 없는 명제라 할 수 있다. 정치권, 시민단체, 출연연, 대학 등과 과학벨트 거점지구 발전협의회를 구성한다고 11일 발표한 대전시와의 연계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출연연과의 협의에는 공공기관, 국공립기관, 대학, 비영리기관, 기업체들도 당연히 포함해야 한다.
과학기술의 허브인 대덕특구는 이제야말로 세계적 연구개발(R&D) 역량 보유로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시점이다. 유념할 것은 출연연, 기업연구소, KAIST 등 대학, 기업이 얼마나 활발한 협업과 연구체제 융화를 이뤄내느냐다. 과학벨트가 일궈낼 파이의 크기는 거점지구와 대전시, 특구본부가 함께 창출할 시너지와 거의 일치한다 하겠다.
그런 점에서 과학벨트의 기초연구 기능과 대덕특구 출연연의 응용연구의 연계, 기술사업화에서 특구본부의 역할은 막중하다. 거점지구 성과 창출에 있어 특히 그렇다. 그중 제일의적 가치는 지금까지 쏟아온 시간과 노력과 예산을 거점지구의 정책목표와 결합해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본다.
11일 자문단 회의에서 나온 의견 중에는 주의 깊게 새겨들을 내용이 많다. 과학벨트 기술이전과 사업화에서 부처 경계를 넘어 추진체계를 일원화하라는 주문도 그것이다. 특구본부의 역할은 더 있다. 거점지구와 개념적으로 상이하지 않은 대구·광주특구와의 연계,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50개 연구단(사이트 랩)과의 연계 역시 힘써야 할 부분이다. 충청권 기능지구들과의 연계도 물론 빼놓을 수 없다.
과학입국의 명제 아래 조성·발전된 대덕특구가 과학벨트로 새 국면을 맞고 있다. 보다 실제적인 혁신 클러스터의 정점에서 국부 창출과 지역발전 수행이라는 동시적 과제에 직면한 것이다. 대전시, 출연연, 또 정부가 R&D와 비즈니스를 통해 윈-윈할 마당이 곧 과학벨트다. 과학벨트와 특구본부의 연계 전략은 이런 의미로는 개방형 혁신과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이는 거점지구가 왜 대전으로 지정됐나를 생각하면 한층 명료해질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