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싣는 순서]
2. 부지매입 비용 국비지원 이뤄져야
3. 정부, 지자체 의견 적극 반영 필요
4. 과학벨트 전담기구 격상해야
5. 전문가 의견
단군 이래 과학기술계 최대의 국책사업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의 거점지구가 대전으로 확정되면서 대전이 '과학기술 허브도시'로 부상하고 있다. 대덕특구의 신동·둔곡지구는 과학벨트의 거점지구로 선정돼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들어서며, 천안과 연기(세종시), 충북 청원(오송·오창) 등 3곳은 기능지구로 정해졌다.
충청권에는 2017년까지 총 사업비 2조3000억원이 투입돼 향후 20년간 생산유발 212조7000억원 등 막대한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과학벨트 조성이 자칫 '남의 집 잔치'로만 끝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본보는 '과학벨트 국책사업, 지역발전 기회로 삼자'는 주제로 다섯 차례에 걸쳐 점검해 본다. <편집자 주>
▲ 충청에 들어설 시설은=거점지구인 신동·둔곡지구에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이 입지해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 구축과 우수인력 유치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벨트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는 6년 동안 약 4600억원이 투입되고 연간 운영비만 500억원이 소요되는 시설로 오는 2018년 완공된다.
기초과학연구원은 국내·외 석학급 2500여 과학자가 참여해 사이트 랩(Site-Lab)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개방형 조직이다. 기초연구 지원은 KAIST와 대덕단지의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이 'KAIST 연합캠퍼스' 형태로 운영된다.
천안, 연기, 청원 등 기능지구에는 산·학·연을 연계한 인력양성 프로그램과 공동 연구개발 등이 지원되며 거점지구의 연구 성과가 비즈니스로 연계되는 선순환구조를 완성하게 된다.
과학벨트위원회는 연말께 거점·기능지구의 위치 및 면적, 기초과학연구원 설립·운영, 중이온가속기 구축방안 등이 담긴 '과학벨트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어 국토해양부에서 과학벨트 거점·기능지구를 최종 지정·고시하면 개발사업 시행자가 토지보상, 기존 개발계획 변경 등 과학벨트 거점지구 개발절차에 본격 착수한다.
▲ 지역에 미칠 영향은=과학벨트가 대전을 중심으로 조성되면 대덕특구와 KAIST 등과 연계해 과학기술력 신장 측면에서 막대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연계 연구활성화를 통한 신 융합산업 창출과 대덕특구의 기술사업화 노하우를 활용한 기술이전 창업 활성화 등으로 아시아를 선도하는 미래 융합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될 전망이다.
특히 기초연구원과 출연연 공동연구 활성화를 통한 국내 최초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또 국내·외 우수 연구인력 유입에 따른 지역 내 기업의 전문인력 활용 용이성 증대, 정주환경 개선 효과도 예상된다.
지역경제 파급효과로는 향후 20년간 생산유발 212조7000억원, 부가가치 유발 81조2000억원, 고용 유발 136만1000명 등 막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외국연구기관 및 외국투자기업 유치효과, 세계적인 과학관광 통한 마이스(MICE)산업 활성화, 기초원천기술의 사업화에 따른 기업생태계 구축 용이 등의 효과도 예상된다.
대전시 최시복 특화산업과장은 “과학벨트가 순수 기초과학 중심의 연구영역으로 산업화에 따른 기업육성 등에 효과가 나타나기까진 시간이 필요하다”며 “하지만, 세계적인 연구거점에 따른 인지도 제고, 출연연과의 연계 활성화로 인한 R&D 활성화, 지속적인 우수인력 유입으로 인한 혁신환경 제고 등 과학벨트 입지로 인한 유무형의 파급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