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례로 도내 곳곳에 유기농 생산단지를 만들라는 지적도 그것이다. 사실 중국 농산물의 물량 공세에서 사는 방법은 유기농 농수산식품의 수출시장이다. 충남도가 추진하는 농어업·농어촌 추진 전략과 일치하는 발언들도 쏟아졌다. 농업을 미래산업으로 육성하는 데서 지역 활력을 찾자는 발상의 전환이 상당히 신선하다.
전직 지사들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이 가져올 위기 대처법에 대한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지금은 특히 공주, 태안, 부여, 청양 등 농림어업 비중이 큰 지역, 미국·EU와의 경쟁에서 취약한 축산과 과수 분야부터 대비하며 틈새농업도 찾아봐야 한다. FTA 발효 15년째부터 도내 농림어업 생산액이 매년 1924억원씩 감소한다는 충남발전연구원 보고서를 허투루 볼 일이 아니다.
농업이 충남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봐서 일전에 제시된 '내발적 발전론'에도 농업을 주도적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즉 지역 순환형 경제발전 기반, 지속가능한 농어촌 성장을 견인하려면 농정 분야의 일대 혁신이 따라야 한다. 농업이 2, 3차 산업으로 가야 부가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충남에 적용시킬 때가 오지 않았나 한다.
또한 농촌체험마을 조성 등 도농교류 활성화, 그리고 농업을 건강에 대한 관심과 식품산업의 잠재력과 연결시키는 부분도 간과할 수 없다. 그래서 더욱 절실한 것이 '지원'이다. 실제로 포도농가 기술 지원, 과수농가 시설 지원, 토마토 가공 지원, 미곡 유통 지원 등 맞춤형 지원 강화에 방점이 찍힐 수밖에 없다.
역대 지사들은 인삼산업 육성, 구제역 발생농가 지원 등 주요 현안을 두루 다 짚다시피 했다. 3농(농민, 농어업, 농어촌) 혁신, 즉 농업을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육성하기란 결코 쉽지는 않다. 그럼에도 과거 충남지사들이 풀어놓은 아이디어엔 지금 바로 응용할 만한 것들이 눈에 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