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광기 대전대 교수ㆍ정치학 |
이미 우리 정치가 정체의 늪에 빠져 있다는 것은 누구나가 안다. 이런 정체의 늪은 일차적으로 정치권이 그 동안의 기득권에만 안주해 있어서 나타나는 것으로 그 책임이 있다. 기득권의 유지라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 수도 있다. 변화는 정치판에서 자신을 위협하는 부메랑으로 돌아와 자신의 등을 찌르는 비수와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급적 급격한 변화를 정치권은 원하지 않는 속성 같은 것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 국민은 정치권의 변화를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국민이 원하는 변화는 그냥 그렇게 대충 변화하는 시늉만을 보여주는 변화가 아니다. 보다 근본적인 것으로부터의 변화를 지금 국민은 원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변화를 보다 강하게 그리고 진정으로 원하고 있는 곳은 바로 충청권이다. 지난 대선과 총선을 통해 충청민들은 다른 지역과는 달리 여당도 아니고 그렇다고 제1야당도 아닌 충청의 지역당을 선택했다. 이런 충청민의 선택은 이미 다 아는 바와 같이 이회창과 심대평으로 대표되는 충청의 정치세력화를 기대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 기대는 세종시와 과학벨트 문제 등 충청이 안고 있는 현안문제를 비롯하여 지역당의 한계를 노정한 채, 그 역할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로 이것이 정치권의 변화 요구 속에 나타나고 있는 충청민들의 변화에 대한 기대와 바람의 근거이다. 세종시 수정안 때문에 마음 고생을 하고 과학벨트가 우리 지역에 오는 것으로 결론이 나긴 했지만, 그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고통을 감내해야 했던 떠올리기 싫은 기억이 바로 우리 충청민의 마음 속에 큰 멍울로 자리 잡고 있다. 무엇이 문제였던가? 바로 우리 충청민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우리의 뜻을 제대로 정치에 반영할 수 있는 정치세력이 미흡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흔히 심대평 대표의 자유선진당 탈당이 충청의 분열의 시초라고들 한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현상을 나타내는 것일 뿐이다. 심대표의 탈당은 바로 자유선진당에 내재하고 있던 문제들이 더 이상 지탱할 수 없는 상황에서 폭발한 단초에 불과했다는 것을 시간이 지난 지금은 이해할 수 있다. 당시의 상황에서 충청을 대표한다는 정당이 충청의 힘을 모을 수 있는 능력도 없고 또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는 체제도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당의 자성과 성찰과 변화를 요구하며 심 대표가 탈당했다고도 할 수 있다.
이제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충청 정치권의 변화가 거세게 요구되고 있다. 통합이 충청의 변화를 요구하는 대표적인 키워드로 등장했다. 그런데 문제는 어떻게 통합하는 것에 있다. 단순히 자유선진당과 국민중심연합의 1+1의 통합은 '도로 선진당'에 불과하다. '도로 선진당'이 충청의 정치세력화를 할 수 없었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경험했다. 충청권의 변화와 충청의 통합은 과거 회귀적인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 새롭게 통합을 통한 충청의 정치세력화가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래서 중요하다.
미래지향적인 충청의 변화, 정치세력화를 통한 충청의 수권세력화, 정치의 변방이 아닌 정치의 중심이 되는 충청이 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각오와 무엇보다도 중요한 '스스로의 버림 정치'가 요구된다. 지금 현재 가지고 있는 것들을 버리고 비움으로써 통합을 위한 새로운 시작이 되는 것이다. 지금 가지고 있는 것들을 비우지 못하고 버리지 못하면 통합을 위한 논의가 시작될 수 조차 없다. 왜냐하면 지금 충청민이 원하는 정치의 변화는 그냥 있는 것을 합치는 것이 아니라, 내년을 시작으로 충청이 정치의 중심에서 정권을 창출하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충청의 민심을 빨리 깨닫고 그를 기초로 정치의 변화를 선도하는 것이 충청 정치권과 정치인들의 과제이며 임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