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지역의 공동 관심사를 협의하고 필요할 때는 어떤 형태로든 일치된 목소리를 내야 한다. 특화된 자립경제권 모색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는 시점이다. 다행히 충청권에는 상생발전과 자립경제권 모색에 유리한 주변환경이 형성되고 있다. 네트워크형 거버넌스, 광역경제시스템 구축을 토대로 여기에 대응해야 함은 물론이다.
충청권은 누가 뭐래도 과학강국을 향해 한 덩어리로 되고 있다. 그 같은 대동의 정신은 과학벨트 거점지구와 기능지구가 모두 충청권에 들어섬으로써 더욱 견고해졌다. 클러스터 연계체제 구축(네트워크 경제성), 자원의 공동 활용(규모의 경제성)에 유리한 구도가 됐다. 그리고 21일 듬직한 구심점 하나가 더 생긴 것이다.
이날 출범식에서는 3개 시·도가 동일한 뿌리임이 강조되기도 했다. 유럽연합이 유럽석탄·철강공동체에서 출발했다고 예시한 것은 창조적 지식과 원천기술 확보로 광역경제권을 창출하겠다는 의지로도 풀이된다. 지역산업 육성전략에도 그러한 사례를 원용할 수 있겠다. 물리적 경계를 떠난 광역경제시스템 확보, 충청권 자립경제권 달성은 가장 성숙한 단계다.
과학기술을 수단으로 충청권이 손잡고 지역산업을 융합하면서 글로벌 경쟁력과 신성장동력 창출에 기여해야만 한다. 지식경제부의 광역경제권 연계협력 사업을 놓고도 지자체 간 공동R&D 등의 사업을 펼칠 수 있겠다. 물론 광역경제권 개발이 수도권 규제 완화의 명분이 될지 모른다는 일부의 우려 또한 불식시켜야 한다.
충청권 경제포럼은 정치적 결사체가 아닌 만큼 특정 정치적 이슈를 강조하다 보면 협력에 금이 갈 수도 있다. 사소한 이해관계나 표리가 다른 투트랙 전략은 공조에 해롭다. 균열 없는 연대는 단합된 힘과 불필요한 문화적 거리감 해소가 그 바탕이다. 끝으로 대전의 R&D, 충남의 IT, 충북의 바이오산업을 중심으로 차세대 신성장동력을 찾는데 충청권 경제포럼이 역할을 다해주길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