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대전시는 자금 지원의 규모와 배분의 효율화에 힘써야 한다. 유념할 것은 아직 자금이 충분치 않다는 지역 기업이 32%나 된다는 점이다. 자금 지원에 따른 생산과 매출 증가 기여도가 기대보다 높은 걸로 미뤄볼 때도 중소기업 육성자금 한도액 상향이 절실하다고 본다. 수혜 기업들의 자생력 강화가 가능할 정도로 지원 효과를 높인다면 더 말할 나위 없이 좋다.
자금 지원은 일자리와 고용과도 관련이 있다. 또 자금 지원 외에 지자체에서 지역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하는 것도 내수 회복에 적잖은 도움이 된다. 설문 결과, 거의 절반(45.9%)에 이르는 고용증가 영향이나, 생각보다 높은(65%) 인력 보전 효과도 주목할 만하다. 지역 중소기업의 구인난이 주요 경영 애로 요인임에 비춰 자금 지원은 곧 중소기업 인력 확보 지원 효과가 되는 것이다.
지역 중소기업은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불안, 인력난의 삼중고에 취약한 것이 특징이다. 자금 지원의 적절한 배분을 하되 평가 기준을 현행보다 완화했으면 좋겠다. 유망 중소기업만이 아닌, 우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도 상용화가 곤란한 기업, 미래 성장동력산업으로서 잠재력 있는 기업까지 적극적으로 발굴했으면 한다.
각종 지표의 호전에도 지역 중소기업은 여전히 경영상황이 어려운 곳이 태반이다. 기존의 판로전용 정책자금과 함께 상환유예기간 연장 등 다각적인 검토가 있기를 바란다. 지역 기업이 활력을 되찾을 때까지 재정 지원에 인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자금 지원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즉 자금 유동성 확보는 지역 중소기업 활성화와 직결되는 문제다.
지역 기업들의 목소리를 경청해 중소기업 육성이 곧 도시개발이라는 인식을 갖고 육성자금 확대 및 인력 확보 지원을 지속적인 과제로 삼았으면 한다. 자금 지원에 만족한 71%는 더 만족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조사에서 보통이라고 답한 20.5%, 만족하지 못하는 8.8%에 해당하는 지역 중소기업들의 불만족 요인 또한 제거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