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문화 아카이브'는 온라인상 문학, 미술, 연극, 무용, 음악 등 모든 장르의 지역 문화예술정보를 한 곳에 모아 일반인에게 공개해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하는 사업이다.
12일 지역 문화예술계에 따르면 지난 4월 대전문화재단이 문을 연 '대전 문화전자 아카이브'는 지역 문화정보를 축적한다고 했지만, 현재 기본적 자료 축적 없이 지역 예술인들에게 스스로 등록하도록 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그나마 몇몇 지역 예술인과 단체들이 등록한 인물 자료 페이지에는 '자료 없습니다' 일색이다.
경기문화재단은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공간 등 지형별 문화예술정보가 저장돼 있으며, 부산문화재단 또한 예술인들의 주요 활동사항은 물론 지역별, 시대별 문화축제, 사진, 영상자료 등 다양한 자료가 수록돼 있다.
이처럼 타지역 문화재단은 지역 내 예술작가와 단체, 공간에 대한 문화자료를 비롯해 다양한 사업에 선정된 예술인의 활동 결과물 등을 등록해 운영하고 있다.
재단은 당초 지역 예술인의 인물자료, 문화자료, 문화공간 DB 등으로 구성해 대전문화사 연구의 토대로 활용 또는 지역 문화기반 시설의 지형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구성한다는 큰 뜻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현재 대전문화재단의 '대전 문화 전자아카이브' 사업의 대전 문화정보는 여타 지역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대전문화 아카아브'사업이 보여주기식 사업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 상태다.
한 문화예술계 인사는 “'문화아카이브 구축 사업' 후발주자인 대전문화재단의 경우 선발주자인 타 지역 재단들이 겪었던 시행착오를 덜 겪을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아직까지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대전문화 아카이브사업은 지역 문화예술 통계 등 기본적 자료가 구축된 가운데 예술가와 단체 위주가 아닌 시민들 위주로 문화정보를 담아내고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