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전교조 대전 및 충남지부에 따르면 대전시교육청은 학업성취도 향상 프로그램 운영 지원을 명목으로 32억2700여만원의 예산을 쏟아붓고 있다.
또 학력평가 관련 예산 26억원까지 합치면 학력신장 1건으로 58억원이 넘는 돈 폭탄이 지원되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지원이 학생들의 문화 및 예술 체험, 복지 및 정서함양 등의 혜택으로 돌아가는 것보다 오로지 학업성취도평가를 대비한 0교시 수업, 방과후 수업 강요 등에 활용된다는 것이다.
전교조 대전지부 관계자는 “일제고사를 대비해 시교육청이 쏟아붓는 예산은 학교교육의 파행 운영을 조장하는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라며 “순수한 학력신장이 아닌 돈 폭탄을 투하해 학교현장을 전쟁터로 만들고 황폐화시키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충남도교육청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대비해 문제풀이식 특별반 운영, 주말 등교 등은 일반화돼 있으며 점수 올리기 방안으로 상품권까지 제공하는 등 비교육적 사례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당초 도교육청의 학력신장 관련 예산은 106억원이었지만 지난달 추경에서 123% 증액된 230억원을 편성, 일선학교에 무차별적으로 지원되고 있다.
전교조 충남지부 관계자는 “교육청 및 학교평가, 차등성과급에서 높은 등급을 받기 위한 어른들의 잘못된 욕심 때문에 학생들이 점수 올리기에만 급급한 무한경쟁으로 내몰리고 있다”라며 “도내 전체학교의 금품제공, 문제풀이를 위한 0교시 수업, 야간수업, 모의고사 실시 등 구체적인 파행 사례를 조사해 공개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교육청 관계자는 “일선학교에서는 관련 지원 예산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뿐 아니라 학생들의 학력신장을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라며 “다만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해 일선학교의 서열이 매겨지는 만큼 경쟁에 따른 과열도 나타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