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 속 '용호장군 잉태바위' 발굴

  • 전국
  • 청양군

전설 속 '용호장군 잉태바위' 발굴

청양군 550여만원 투입 공원조성… 대표 관광명소 개발키로

  • 승인 2011-06-12 13:52
  • 신문게재 2011-06-13 17면
  • 청양=이봉규 기자청양=이봉규 기자
청양군이 천년동안 전설로 내려오던 '용호장군 잉태바위'를 발굴했다.

이에 군은 용호장군 잉태의 스토리를 접목, 관광자원화 한다는 계획이다.

▲ 용호장군 잉태바위.
▲ 용호장군 잉태바위.
일명 남근바위로 불리는 '용호장군 잉태바위' 발굴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사업의 일환으로 자료를 수집하던 중 지역주민 장창순씨(아미팜 기술연구소)의 제보로 칠갑산 천장호 주변(정산면 천장리)에서 찾게됐다.

이 바위는 예부터 출산 등 소원을 기원하면 성취되는 전설을 간직한 바위로 남근의 형상을 하고 있다.

용호장군 잉태바위는 천장호 출렁다리를 건너 등산로를 따라 200여m를 걷다보면 남성의 상징 모양과 닮은 용호장군 잉태바위를 만날 수 있다.

이 바위 바로 옆에는 실제 어린아이를 연상시키는 애기 바위가 있는데 이는 용호장군 잉태바위에서 떨어져 나온 돌로 건강한 아기 형상을 한 점이 눈에 띈다.

풍수학자들은 용호장군 잉태바위 바로 밑에 있는 천장호 가장자리는 여성 자궁의 착상 위치와 비슷해 임신을 상징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시집보낸 딸이 5년 동안 아기가 없자 어머니가 이바위에서 칠백일 동안 정성들여 기도를 했다.

천장호의 수호신이 어머니의 기도를 감탄해 딸이 결혼 후 7년째 되던 해에 바위를 떼어 내어 아기를 만들어 줬다.

이 아기는 훗날 용호장군으로 장성해 거란족의 침입을 물리쳐 나라를 구하는 훌륭한 사람이 됐고 마을주민들은 이 바위를 일컬어 용호장군 잉태바위라 부르고 있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에 군은 지난 7일 이석화 군수를 비롯한 관계 공무원, 마을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원제를 지내고 오는 30일까지 550여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공원을 조성키로 했다.

전병태 문화관광과장은 “독특하고 특별한 이야기와 전설을 발굴해 관광객이 더 많은 호기심을 갖고 청양을 찾을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며 감성에 부응하는 관광지로 만들계획을 밝혔다.

/청양=이봉규 기자 nicon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5.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1.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2.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3.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