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매금' 지역저축銀 이중고

  • 경제/과학
  • 금융/증권

'도매금' 지역저축銀 이중고

예금인출·신뢰추락… 건전한 저축은행까지 타격 하소연

  • 승인 2011-06-07 18:29
  • 신문게재 2011-06-08 8면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저축은행 사태가 계속되면서 건전한 저축은행까지 위협받고 있습니다.”

“최대 난관은 예금 인출이 아니라 갈수록 심각해지는 불신입니다.”

부산저축은행계열사 등의 사태로 심각한 타격을 받은 지역 저축은행권의 하소연이다.

현실적으로 가장 큰 걱정거리는 예금 인출이다. 지난 2월 저축은행의 잇따른 영업정지 파장이 확산되면서 '뱅크런'까지 우려될 정도로 심각했다. 물론, 지금은 어느 정도 잠잠해졌지만, 예금 인출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S 저축은행 관계자는 “기존 고객이 아니라 2월 이후 가입한 고객들을 중심으로 예금 인출이 계속되고 있다”며 “하지만, 인출 규모만큼, 여신에 중점을 두면서 자체적으로 극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대 과제로는 신뢰 회복을 꼽았다.

사상 초유의 부산저축은행 비리가 드러날수록 건전한 지역 저축은행들까지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대대적인 제도 개선과 강도 높은 검사로 선의의 희생양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M 저축은행의 한 임원은 “문제는 PF 등의 비중이 높고 상장된 수도권의 저축은행”이라며 “지역에 있는 저축은행 대부분은 건전하고 투명한 경영을 통해 내실을 다져 믿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에 대한 쓴소리도 잊지 않았다.

O저축은행 관계자는 “시골의 작은 저축은행에까지 금융당국의 말단 출신들이 포진할 정도로 금융당국과의 커넥션은 관행”이라며 “이번을 계기로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의 관계에 변화가 생겼으면 한다”고 말했다.

S 저축은행의 한 임원은 “당국과 저축은행권 모두 사태를 정확히 진단해 저축은행이 서민과 중소기업 금융의 한 축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5.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1.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2.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3.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