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시는 7일 오전 대회의실에서 염홍철 시장을 비롯해 각 실ㆍ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6월 확대간부회의를 개최했다. |
대전시는 도시철도 2호선 노선에 대해 시민공청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비롯해 각 자치구와 주민들의 노선 건의안을 9일 오후 6시까지 의견수렴해 종합적인 검토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시는 지난 3일 시민공청회가 열린 후 공휴일을 제외하고 7~9일 사흘 동안 충분한 시민의견을 듣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견수렴 종합검토 후에는 한국교통연구원에 의뢰, 결과가 나오면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면밀히 검토한 후 필요하다면 추가 설명회도 열 계획이다.
하지만, 시는 도시철도 기본계획 확정 후 이달말 정부에 예타를 신청하겠다는 의지는 확고하다. 시는 이달말 국토해양부와 대상사업 선정을 위해 협의에 나서게 된다.
이는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예타신청 연기 주장이 설득력이 없다고 보고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건의된 노선안 가운데 대덕구의 대순환형(중리네거리~법동~회덕~관평동)은 실효성이 낮아 중리네거리~읍내삼거리~오정네거리~정부청사)으로 타협안이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또 유성구는 전민ㆍ구즉동, 동구는 가오동과 용전복합터미널, 중구 부사네거리 경유 등 각 자치구의 다양한 의견이 접수될 예정이다.
염홍철 시장도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안에 힘을 실었다. 염 시장은 이날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국철(충청권철도)이 확정되지 않았다면 현재의 2호선은 성립되지 않았다”며 “각 지역에서 노선 유치하는 것은 당연하나 지역공동체 이익을 위해 합리적인 토론을 방해하는 세력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시민공청회 파행을 비판했다.
염 시장은 특히 “대덕구민 요구안 중 법동까지 가는 노선은 비용대비 편익분석(BC)이 0.15정도 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하지만, 새로운 자료를 입력하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미니 예타'라도 해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염 시장은 또 “우리가 안을 가지고 무조건 밀어붙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충분한 대화와 자료를 전부 공개해서 예타가 이렇게 예측되는구나하는 것을 주민들에게 충분히 알릴 수 있어야 한다”고 주민설득 절차를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9일까지 공청회 의견 및 시민들의 건의사항을 종합검토한 후 이달말 정부에 예타를 신청할 계획”이라며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안될 것이 되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여 일부에서 제기하는 예타신청 연기 주장은 설득력이 낮아 보인다”고 말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