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황 시장이 지역사회 중·장기 발전방향과 시민화합을 위해 얼마만큼 아낌없이 뛰었으며 지선을 통해 공표한 공약을 제대로 실천하고 있으며 모든 정책을 정치 메커니즘으로 일관하지는 않았는가에 대한 의제(?)를 놓고 시시비비를 가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민선 4기 시절 이미 추진해 왔던 각종 지역현안사업(탑정호 수변개발·육군훈현소 가족면회제 부활 등)이 시류에 걸맞게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도, 마치 자신(황 시장)이 일궈낸 산물인 것처럼 대내·외적으로 홍보·과시하고 있는 모양새여서 어안이 벙벙하다는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어 안타까움을 더해준다.
논란의 대상은 황 시장이 불요불급한 사업(?)을 추진, 예산낭비가 막대할 뿐만 아니라 민선 6기 지자체장 선거를 의식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어 사실상 지역민간, 도농 간 사분오열이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또한 황 시장은 과연 시민사회가 원하는 것과 가려운 곳을 제대로 긁어주었으며 공직사회 전반에 걸쳐 기강확립에 전념했는지,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에 따라 합당한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했는가를 점검하는 실증적 사례가 비일비재한 상황이다.
시민사회는 황 시장이 지난해 치러진 6·2 지선과정에서 시민사회에 천명했던 각종 공약을 제대로 실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개선해야 미래사회 논산발전 방향에 청신호가 켜진다는 사실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논산=이종일 기자 jdji78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