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호재 중심… 대전 '미래가치' 한번에 누린다

과학벨트 호재 중심… 대전 '미래가치' 한번에 누린다

대덕구 석봉동 위치… 최고 50층 '타워형' 아파트 세종시·국철 등 잇단 호재에 수요자 발길 줄이어

  • 승인 2011-06-07 14:09
  • 신문게재 2011-06-08 11면
  • 조성수 기자조성수 기자
풍림산업의 금강엑슬루타워가 '과학벨트' 호재로 뜨거운 대전 부동산시장의 중심에 서 있다.

과학벨트 거점지구인 신동·둔곡 지구와 15㎞, 15분 이내에 위치해 호재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실제, 과학벨트 발표 이후 지금까지 170건의 계약이 진행됐고, 현재도 수요자들의 방문이 줄을 잇고 있다.

여기에는 세종시, 과학벨트, 금강 로하스프로젝트, 대전 국철 등 개발 호재와 50층 초고층 높이의 조망권 확보, 2312세대의 대단지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어서다.

현재 잔여세대를 특별 분양중인 대전의 '랜드마크' 금강엑슬루타워에 대해 살펴보았다.

▲ 117㎡형 주방.
▲ 117㎡형 주방.
▲대전의 관문 랜드마크로 우뚝

경부선 철도와 고속도로를 타고 신탄진을 지나다 보면 금강변에 우뚝선 초고층의 아파트가 눈길을 끈다.

바로 이곳이 대전에서 최고층으로 랜드마크가 되고 있는 풍림산업의 금강엑슬루타워다.

금강엑슬루타워는 지하 1층·지상 36~50층 12개 동·총 2312세대 규모로 지어진다.

최고 50층 높이의 '타워형'아파트로 조망권이 탁월하고 설계에서도 대전 관문이 되도록 차별화한 게 특징이다.

기존의 대전지역의 일반적인 판상형 아파트와 달리 단지 북측에 흐르는 금강이 내려다보이는 타워형 아파트로 설계됐다.

아파트 평면은 수요자들의 눈 높이에 맞춰 다양하게 전용 64㎡형(536세대), 66㎡형(32세대), 84㎡형(776세대), 103㎡형(192세대), 117㎡형(384세대), 141㎡형(392세대)으로 구성됐다.

금강엑슬루타워는 대전 월드컵경기장 크기의 아파트 면적에 녹지면적만 3만9020.7㎡에 이르는 초고층 대규모 아파트단지다.

지상에 주차를 최소화해 4만720.3㎡에 달하는 순수 녹지공간을 확보했다.

축구장 크기의 잔디광장, 휴게시설, 놀이터, 주민운동시설 등으로 전원도시에 걸맞은 공원 같은 단지 분위기를 조성했다.

금강엑슬루타워는 대전시 대덕구 석봉동에 위치해 있으며 오는 2012년 1월 입주 예정이다.

▲ 141㎡형 거실.
▲ 141㎡형 거실.
▲개발호재의 중심에 선 금강엑슬루타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대전행(行)이 확정됐다.

과학벨트 예정지와 세종시까지 지방도로(608호·세종시~대덕특구 간 도로)가 뚫려 오는 2014년 개통될 예정이다.

민자사업으로 추진될 예정인 '천변도시고속화도로' 1·2공구가 완공되면 과학벨트 예정지까지 거리상으로 약 15㎞에 불과해 차량으로 2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다.

과학벨트 자족기능 보완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전 도심을 통과하는 국철(국유철도) 27km(흑석~신탄진) 구간에 들어설 전철역 14곳도 확정됐다.

충청권 광역철도망을 도심 전철로 활용하는 흑석, 가수원, 서대전, 조차장, 회덕, 신탄진 등 기존 역사를 전철역으로 개량해 사용키로 했다.

이에 따라 대전시청에서 20여분 내 이동이 가능해 신탄진동은 앞으로 자족기능을 갖춘 신흥도심으로 탈바꿈이 기대된다.

경부고속도로 신탄진 IC가 인근에 위치하고 있고 갑천도시고속화도로와 신탄진로와 대덕대로 이용시 유성과 둔산, 서남부지역 등 대전 도심권 및 인접지역 접근이 편리하다.

단지 인근에는 석봉초등학교, 신탄진 중앙중, 신탄진 중·고교가 있어 교육여건도 양호하다는 평가다.

신탄진 시장, 새시장 등 재래시장도 단지 인근에 있고 대전보훈병원, 소방서, 동부경찰서, 신탄진 문화의 집 등 생활편의 및 행정편의시설도 인접해 있다.

▲에너지 절감형 최첨단 시스템으로 무장

금강엑슬루타워는 에너지 절약형 초고층 아파트(지역난방 + 소형열병합발전)로 자부심이 크다.

실제, 주택·건축업계에도 친환경 녹색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 1990년대 독일에서는 에너지 절감형 주택 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가 등장했다.

국내에서도 ECO-3L House, 열병합 발전기, 지중열 시스템 등 에너지 절감 기술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풍림산업도 금강엑슬루타워에 세대별 관리비를 절감(지역난방 + 소형열병합발전)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아파트를 선보인다.

또 최첨단 시스템으로 입주민의 삶의 편리함을 꿈꾼다.

금강엑슬루타워는 대전 대덕구, 삼성전자와 '민·관 공공정보 시범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입주민들은 삼성전자가 제공하는 월패드(Wall pad)로 다양한 행정, 의료서비스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서비스는 국내 최초로 구청과 단지 간의 민원전용서비스 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집안에 설치된 월패드로 화상으로 구청 민원 담당자와의 실시간 민원상담은 물론 각종 민원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지 내에 무인민원발급기를 설치해 입주민들이 자유롭게 각종 행정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다.

고속정보통신망, 최첨단 세대환기 시스템 구축, 서울의 유수학원(종로M스쿨)의 온-오프라인 교육도 병행하는 첨단 서비스도 제공된다.

조경시설 및 피트니스센터, 도서실, 실내골프연습장, GX룸 등 다양한 커뮤니티시설로 구성했다.

특히, 실내체육관 및 영화관은 입주민의 문화생활에 한층 여유로움을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된다.

분양문의 ☎ 042-933-3400. /조성수 기자 joseongsu@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5.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1.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2.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3.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