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후보지로 대전이 확정된지 20여 일이 지났지만 정부나 대전시가 뭘 하는지 알지 못하는 지역민들이 많다.
2일 대전시와 교과부 과학벨트사업 추진기획단 등에 따르면 과학벨트 부지 선정발표 이후 지난달 25일 단 1차례만 관계자 회의를 가졌을 뿐 특별하게 드러나는 대국민 언론 브리핑은 없었다. 또 지난해 세종시 수정안으로 과학벨트가 발표됐을 당시, 과학벨트사업기획단이 대전 등 충청지역에 내려와 적극적인 홍보와 달리 지역 설명회나 브리핑조차 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대전 신동·둔곡지구를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청원군·천안시·연기군(세종)을 기능지구로 각각 결정했지만 면적이나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 구성, 중이온 가속기 위치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이 출발선에 있는 상황이다.
또한 신동·둔곡지구는 대덕특구법에 묶여 있어 현재 관할부처가 지식경제부이므로 과학벨트특별법 관할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와 상충될 경우, 협의과정을 거쳐야한다.
대전시 관계자는 “과학벨트 거점지구 면적조차도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슨 논의가 되겠느냐”며 “기획단자체도 올해 말까지는 구체적인 사업이나 일정이 나오기는 힘들 것으로 본다고 말했을 정도”라고 말했다.
대전시와 충남도 등도 과학벨트에 대한 정보 등을 알리는 작업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 분위기다.
한밭대 유병로 교수는 “과학벨트의 역할과 지역에 이바지 하는 면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리고, 지역별 설명회 등을 통해 지역 발전과 부합하는 여론을 수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신형 배재대 객원 교수는 “지자체가 손을 놓고 있을 경우, 교과부나 중앙정부, 정치권에 휘둘려 과학벨트의 모양새가 훼손될 우려가 높다”며 “보다 과학적이고 치밀한 계획을 수립해 과학벨트 효과가 지역발전에도 크게 기여하도록 하는 아이디어를 짜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교과부는 본보가 취재를 하자, 이달 안으로 협의체 구성안을 마련할 것이며 지역 설명회나 전문가 포럼 등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문숙 기자 moon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