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일부 교수들 사이에선 학교 측이 문제의 본질을 찾아 해결하기 보다는 KAIST 이사회(이사장 오명)와 정치권에 기대어 분위기 반전을 노리는 분위기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며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이사회는 소위 '4월 사태 '후 막강한 힘을 갖고 확실한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다. 당시 벼랑 끝에 있던 서 총장을 구해줬다는 게 일반적 시각이다. 대외적으론 KAIST 이사회를 통해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을 급반전 시키며 그 나름의 '새로운 리더십'을 보여줬다. 또한, 서 총장은 4월 당시,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의 사퇴 촉구를 돌파하기 위해 학교 내에 혁신비상위원회(위원장 경종민) 구성을 통해 '화난 민심'을 달래는 양동작전을 폈다.
그러나 31일 학내 구성원들의 반발은 지난 4월에 버금가는 양상으로 번지는 분위기다. 혁신위 의결사항의 즉각적 이행 여부를 놓고, 서 총장과 교수협이 정면 충돌 하고 있는 것이다.
서 총장은 이번 위기도 '이사회 카드'로 넘기려 한다는 해석이 학교 안팎에서 파다하다. 교수협 일각에선 서 총장이 이사회를 믿고 모종의 계획을 짜는게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는 상황이다.
이사회는 총장 측근이나 이사들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주고, 거액을 기부한 사람들에게 이사직을 부여하는 등 학교 운영을 견제하는 기능을 상실했다는 지적을 받아오고 있다.
교수협 경종민 회장(혁신비상위원회)도 이사회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경 회장은 이사장을 만나고 싶지만 교수협은 임의 단체이기 때문에 정식 채널로는 인정하지 않는다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그는 교수들의 의견들을 가깝게 들을 수 있도록 이사회가 문호를 더 열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사회와 함께 KAIST가 너무 정치적 접근을 하는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개교 40주년 기념식에 대통령 참석이 확정되면서 서 총장을 비롯한 보직자들은 '4월 사태'가 사실상 종결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나와 논란을 빚기도 했다. 학교 안팎에선 KAIST에 '정무 기능'을 하는 보직자가 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이들이 KAIST 이사회와 정치권을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KAIST의 한 교수는 “학생·자살 사태가 학내 문제인 만큼 잘못된 점을 교육적으로 해결해야 하나 최근의 흐름을 보면 학교 측이 학교 외부의 힘으로 현 상황을 돌파하려하고 있다”며 “새로운 리더십은 인적쇄신을 통해 찾아야 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배문숙 기자 moon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