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덕기 시청팀장 |
하지만 충청권을 바라보는 여타지역의 시선은 충청권이 세종시에 이어 중요한 국책사업의 과실을 가져가고 있다는 질투와 시기가 배어 있다. 그런 만큼 충청권은 입지가 확정된 과학벨트 조성에 지역역량을 쏟아부어 보란듯이 과학벨트를 성공시켜야 한다. 특히 대전시는 과학벨트의 거점지구로 선정된 만큼 '과학도시'로서의 실질적 위상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대전은 과학도시'라는 등식은 이번 과학벨트 입지로 분명히 증명됐다.
대전은 그동안 대전엑스포의 성공적 개최와 세계과학도시연합(WTA) 출범, 대전 국제우주대회(IAC) 개최 등 과학도시의 명성을 착실히 다져왔다. 그러나 일부에선 소리만 요란스러울 뿐 알맹이는 약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제 명성에 걸맞게 과학의 내용을 충실히 채워나가야 할 때라고 본다.
과학도시 대전의 브랜드를 떠받치는 양대 축은 대전시와 대덕과학특구다. 그럼에도 양 측은 소통하지 못하고 따로 노는 모습을 비추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서로에게 책임의 화살을 던졌다. 대덕특구 내 연구기관과 종사자들은 “대전에 왔지만 지자체가 우리들에게 관심을 갖고 해 준게 뭐가 있느냐”고 불만을 표출해 왔다. 대전시는 “당신들은 대전시민이 되기 위해 무슨 노력을 했는가”라고 반문해 왔다. 대전시의 대표적 과학축제인 '사이언스 페스티벌'에는 대덕특구 연구기관들의 참여가 미진해 지자체 중심의 나홀로 축제로 진행돼 온 부분이 있다. 지역의 풍부한 과학인프라를 활용하지 못한 이같은 현상은 상호 소통과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노력 부족이라고 생각한다. 이제는 대전이 과학벨트의 거점지구로 출발하는 만큼 과학도시를 상징하는 대표축제가 꼭 있어야 한다. 대전시와 과학계는 '대전사이언스 페스티벌'을 대한민국 대표 과학축제로 육성토록 힘을 모아야 한다.
대전시민과 과학계 인사들의 소통도 활발해야 한다. 대전시민들은 그동안 대덕연구단지 사람들을 이웃으로 여기지 못하고 근접하기 어려운 '그들만의 세상'으로 치부해 온 면이 있었다. 한 때 다단계 마케팅이 국내를 휩쓸 때 시민들은 대덕연구단지 사람들을 다단계 세미나장에서나 접할 정도였다. 과학계 인사들도 수도권 중심의 생활과 사고를 떨구지 못한 채 '몸 따로, 마음 따로' 식의 생활행태를 보여주지 않았는 지 되돌아 봐야 한다. 대전의 울타리 속에 함께 있으면서도 시민과 과학계 종사자간에도 소통 부족이 컸던 것이다. 과학계 인사들도 대전시민이다. 그렇다면 지역사회에 가까이 가려는 노력을 해 줬으면 좋겠다. 우수한 전문가 집단으로서 그 뛰어난 역량을 지역사회에 착근시켜 지역역량을 높이는 데 보탬을 줘야 한다.
이점을 의식한 듯 전·현직 대전시장도 시민과 과학계의 소통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지난해 '대덕특구 활성화 및 협력강화를 위한 그랜드 포럼'에서 “대덕특구와 시민간의 교류활성화를 위해서는 공식적인 행사는 물론, 문화예술과 구성원간의 교류협력을 매개로 '대전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한 바 있다. 박성효 전 시장도 “과학이 거리의 플래카드속이 아니라 시민들의 삶에 존재할 때 대전이 진정한 과학도시가 된다”고 지적했었다.
과학벨트 입지의 파급효과를 대전 전역으로 확산시키도록 대전시는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 과학벨트 거점지구가 유성구 신동·둔곡지구 확정돼 대전의 산업단지 지형의 북부권 쏠림현상이 심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산업단지가 취약한 동구, 중구 등 자치구들의 산단개발을 둘러싼 지역 편중 우려 목소리를 경청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학도시에는 벤처캐피털 육성이 뒤따라야 한다. 그런데 현재 대덕특구내 연구소와 벤처기업이 만들어내는 상용기술은 수도권의 벤처캐피털에 의지해 자금 종속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대전에도 토착인들의 대기성 투자자금이 있지만 벤처기업인과 연결이 잘 안된다고 한다. 지역에서 만들어진 기술을 지역 자금이 투입돼 제품화되는 모습도 보고 싶다.
과학벨트 입지 발표로 요즘 가장 신나는 곳은 국내 부동산업계다. 투기 호재가 생겼다며 반기고 있다.
과학벨트의 과실은 온 국민에게 돌아가야 한다. 국가경쟁력 확보의 일등공신이 돼야 한다. 그런면에서 과학벨트의 그림은 현정부는 물론 차기 정부에서도 심혈을 기울여 추진돼야 한다. 국책사업이 축소되는 경우를 많이 본 탓인 지 괜시리 걱정도 앞선다. 변죽만 울리다가 부동산 투기자들만 신나게 할 순 없는 것 아닌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