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정치 논란 불식, 충청권 공조 중요
중)예산확보, 출연연 관계 설정 문제 풀어야
충남대 미생물분자생명과학과 안정근 교수는 “과학벨트가 지난 3년간 정치적, 정략적으로 휘둘리면서 예산이나 기대 효과 등이 과대 포장된 경향이 있었다”며 “이제부터라도 과학기술계가 과학벨트를 하나의 분야가 아니라 융합 과학이라는 측면에서 유기적인 관계를 이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과학기술계에서는 과학벨트와 관련된 다양한 걱정거리를 쏟아내고 있다. 이제껏 정치에 휘둘려 제 목소리를 못냈지만, '과학적'인 로드맵을 만드는 것을 비롯해 해야할 일들이 산적해 있다.
우선, 과학벨트의 핵심으로 꼽히는 기초과학연구원 로드맵을 제대로 짜야만 과학벨트가 정치벨트라는 오명을 씻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과학계는 보고 있다.
또한, 과학벨트의 성공 기준으로 '입지'보다는 '연구계획'을 제대로 짜는 것이라는데는 이론의 여지는 없다. 서강대 물리학과 이덕환 교수는 여러 언론을 통해 과학벨트가 어디에 들어서는 가 하는 것 보다 과학벨트에 담을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명수 출연연기관장협의회장(한국표준연구원장)은 “ 지역별로 특화된 기술영역을 고려해 기초원천연구에 대한 거점지구를 지정, 사이트랩을 설치하고 대덕의 메인 사이트와 성과를 공유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대구와 광주, 대전으로 연구단이 쪼개져 있는 만큼, 이들에 대한 교통 정리가 필요하다. 이것도 정치가 쪼개놓은 것이므로 과학의 잣대로 다시 체계를 세워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밭대 유병로 교수는 “연구단을 기능별로 선정한 것이 아닌 정치적 고려가 있었기 때문에 연구의 중복성 문제가 나타날 우려가 높다”며 “ 무슨 연구를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과학적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래서 정치벨트를 과학벨트로 바꾸기 위해선 바로 과학자가 중심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제안한 과학벨트가 이 대통령 스스로 과학이 아닌 정치적 판단으로 문제를 풀어나가면서 과학자들은 설 땅이 없었던 게 현실이었다.
이제부터는 과학벨트의 주역이 과학자가 되도록 해야 한다.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 이규호 공동대표는 “과학벨트가 정치논리나 특정 지역·집단의 이기주의에 흔들리지 않도록 경계하면서 과학자들이 연구소 구조나 연구방향을 주도적으로 결정하도록 정부가 과학자들의 길을 확보해 줘야한다”고 말했다.
공공연구노조 이광오 정책국장도 “정치권과 지자체는 과학벨트를 정치 투쟁의 성과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며 “과학자들이 중심이 돼서 과학의 모든 것을 논의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끝>
/배문숙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