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그동안은 공조를 표방하면서 미묘한 지역 간 입장 차이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대전·충청권이 거점지구와 기능지구로 확정된 지금은 다르다. 핵심시설이 세종시 아닌 대전에 들어설 뿐 큰 틀의 공조를 바꿀 이유가 전혀 없다. 그 바탕엔 어느 곳에 입지하건 공조한다는 '충청권 입지'의 대원칙에 대한 동의가 깔려 있다.
바로 그래서 입지 결정에 대한 존중이라는 토대 위에 과학벨트 관련 현안이 충청권의 공통 과제라는 인식을 새롭게 다져야 하는 것이다. 기초과학 연구만이 아니라 과학기술 성과의 사업화에도 충청권은 중추적인 기능을 맡아야 한다. 지역별 입장을 누그러뜨리고 참으로 '그물망'처럼 협력할 시점이 본격 도래한 것이다.
우리는 과학벨트 입지 발표 이튿날 성사된 충청권 시·도지사의 만남은 충청권 결속이 과학벨트를 지켜냈다는 자부심과 자신감에서 비롯됐다고 보고 있다. 특히 세종시 자족기능 강화를 위한 지원 방안과 대안 마련을 위해서도 대전과 충남, 충북은 세종시와 상생하는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이에 그치지 않고 창조적 지식과 원천기술 확보를 대전과 충남, 충북에서 일궈야 할 것이다. 나아가 과학벨트는 미래 국가발전 전략이라는 보다 큰 동심원을 그려봐야만 한다. 먼저 대전 거점지구, 오송·오창과 연기, 천안의 기능지구를 중심으로 공조체계를 탄탄히 해야 한다. 이것이 가능해야 과학벨트의 완전한 성공도 가능하다.
과학벨트를 지켜내는 과정에서 충청권은 얽히고설킨 이해관계도 원만히 해결했다. 그러한 힘을 원동력으로 한 차원 높은 정책결정체계를 유지하길 바란다. 거점·기능지구 조성과 관련한 정부와의 협의 등 모든 면에서 충청권이 함께 논의하고 보조를 맞춰가야 한다. 국가성장 동력 확보라는 대의와 충청권 발전의 실리는 다르지 않다. 원숙한 공조체계를 주문하는 이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