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듯 대전과 충청권에 과학벨트 거점지구와 기능지구가 둥지를 틀게 된 것은 '선거 논리에 의한 역차별'이나 '특정지역 차별'에 있지 않다. 다른 지역을 압도하는 '확고한 1위'라는 지표가 말해주듯 연구·산업 인프라의 탁월함에 있다. 과학벨트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 설치로 시너지를 극대화할 최적지가 대전이다. 연구·산업기반 구축 및 집적 정도, 연구개발 투자 정도, 국제교류가 가능한 커뮤니티 구축, 이것만으로도 대덕특구를 따를 곳이 없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번 결과는 기준과 규정, 절차에 따른 평가이면서도 다른 의미로는 집적된 충청권의 힘의 결과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지역민과 지자체, 지역 정치권, 범충청권비상대책위원회 등의 역할이 지대했다. 충청권은 혹시 모를 불투명성 등으로 오히려 정치적 결정을 걱정했던 것도 사실이다. 지금 전국이 들끓는 데서 보듯이 후보지를 확대해 전국이 사분오열된 것은 큰 손실이었다. 그럼에도 대전을 비롯한 충청권이 과학벨트 기능 수행에 가장 합당한 입지임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된 측면도 있다고 본다.
우리는 과학벨트 유치라는 이번 성과가 무엇보다 미묘한 입장 차를 극복하면서 유지된 충청권 공조에 크게 힘입었다고 보고 있다. 이제 대전은 세계 유수의 과학기술 도시로 거듭날 호기를 만났다. 거점지구로 확정된 충청권 도시들과의 상생은 앞으로 더욱 필요하다. 거점지구와 기능지구가 조화를 이뤄야 과학기술의 허브를 만들 수 있다. 연구기능 외에도 첨단산업체들이 집적되고 시너지를 확실히 내는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도 반드시 그래야 한다.
지금부터가 정말 시작이다. 한국형 실리콘밸리 그 이상의 기대효과를 내도록 과학벨트의 성공적인 구축에 충청권이 앞장서야 한다. 세종시, 대전과 충남, 충북은 과학벨트의 차질 없는 건설을 위해 공조를 흩트리지 말아야 한다. 정부도 좌고우면하지 않고 거품 없는 과학벨트 조성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과학이냐 정치냐 하는 논란을 서둘러 접고 이번 선택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결정이었음을 입증해야 할 책무가 있다. 끝으로 이후 조성 과정에서는 기존의 대덕특구 정부 출연연구소 등 과학계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하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