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계 일각에선 현 정부 들어 과학기술분야 최대 국책 사업인 두 사업이 특정지역에 동시에 가기는 힘들다고 판단, 대전시가 나름대로의 '해법'을 내놓은 게 아니냐는 분석도 일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2일 “사업추진을 위해 당초 유치를 신청한 3개 컨소시엄에 대해 참여의향을 재확인(4월 22일~5월 2일)한 결과, 대구시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경북도와 함께 참여의향 공문을 제출했으나 KAIST 및 서울대는 각 해당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는 대전시, 인천시의 참여의향에 대해 명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교과부는 “이를 토대로 6일 '뇌연구촉진심의회'를 개최, 최종적으로 참여의향을 재확인한 컨소시엄(대구·경북-DGIST)을 대상으로 평가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대전시는 지난 2009년 11월 제출한 제안서를 검토한 결과, 타당성이 맞지 않는다며 수정안을 제출하지 않아 사실상 포기를 선언했다. 결국, 평가 점수 100점 만점에 대구 컨소시엄이 70점 이상만 얻으면 뇌연구원을 유치하게 된다.
경쟁 컨소시엄이 있으면 비교 평가를 해야 하지만, 단독으로 유치 신청이 이뤄져 절대 평가 방식으로 진행된다. 선정지 최종 발표는 6월로 예정돼 있다.
뇌연구원의 대구행 내정으로 인해 대전시가 국책사업 실패 가능성이 높아지자, 슬그머니 발을 뺐다는 소문도 돌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과학벨트와 맞바꿨다는 소문은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며 “뇌연구원을 유치하기 위해 1000억원(부지 포함)의 예산을 투입하는 만큼의 기대효과가 없기 때문에 포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국책 사업 실패에 대한 부담감도 근거없는 이야기”라고 덧붙였다.
지역 과학계 일각에선 과학벨트 최종 후보 지역의 대전 '낙점'을 위해 '보이지 않는 손'이 개입했다는 루머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큰 것(과학벨트)을 얻기 위해 작은 것(뇌연구원)을 버리는 전략을 쓴 게 아니냐는 것이 루머의 요지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과학벨트 최적지로 꼽히던 세종시가 1차 압축 과정에서 부터 배제된 것을 볼 때 최종 후보지 결정은 정치적인 판단에 따라 이루어질 것”이라며 “16일 과학벨트 후보지역 발표를 지켜보면 어느 정도의 답이 나오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뇌연구원은 오는 2013년 개원을 목표로 총 1288억원을 투입해 부지 5만2000㎡에 건물 1만9054㎡ 규모로 설립하고 연구인력 규모는 개원초 50여명에서 2020년까지 200여명 규모로 확대한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배문숙 기자 moon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