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육 역량강화사업에 선정된 대학들은 적게는 7억여원, 많게는 60억원을 지원받아 역량을 높이는 사업에 자율적으로 투자하게 된다.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도 한해 평균 27억여원을 지원받아 교육과정 개편 등에 활용한다. 그러나 이런 사업으로도 지역대학들의 미래는 밝아 보이지 않는다. 위기의 본질은 수도권 대학에 비교해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극심한 취업난에 신입생과 편입생 모집난, 재학생의 수도권으로의 이탈 등으로 존립 기반이 점점 위협받고 있는 게 현재 지방대가 처한 현실이다.
무엇보다 각 대학들이 취업률을 높이는 게 관건이다. 재학생들이 수도권으로 이탈하는 이유는 취업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한밭대와 건양대, 을지대 등 취업률 선두를 다투는 대학도 있지만 지역대학들의 취업률은 대부분 중하위권이다. 낮은 취업률은 수험생 수도권 유입 가속화→지역대 재정악화→투자기피→경쟁력 약화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업들의 취업설명회만 해도 주로 서울에서 열려 지역대생들은 취업 설움을 되씹는다. 이런 취업설명회만이라도 유치해 경제적 부담과 번거로움을 덜어줘야 한다. 한 대학만으로 힘들다면 대학들끼리 협력해 기업들과 접촉해 끌어와야 할 것이다. 그래야 기업의 고용담당자들의 인식을 바꾸고, 지역대생들에게 취업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정부가 오는 2016년까지 비수도권 대학의 취업률을 60%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하지만 취약한 체질 개선 없이 과연 계획대로 될지 의문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지역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다. 대학 구성원들의 뼈를 깎는 자구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