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른바 '제3지대론'으로 가기 위한 암중모색에 그쳤다고도 볼 수 있겠다. 충청권의 정치지형은 그만큼 단순하지 않다. 어찌 보면 한나라당과 민주당 양당이 주도하는 정치 구도에서 생존을 염려해야 할 상황이다. 외연 확대를 구실로 선거를 겨냥해 잠깐 헤쳐 모이는 한낱 '가설정당'에 머문다면 정치적 생명력을 오래 담보할 수 없을 게 뻔하다.
유권자도 현명하다. 따라서 실제로 새로운 정치를 담는 그릇이냐가 그 열쇠가 될 수 있다. 어떤 형태의 정치세력 규합이 실현되든 발제자의 “민심은 정치를 담는 그릇”이라는 말은 새겨둘 만하다. 이것만 우선 해결되면 정치적 소신과 색깔, 또 충청권 맹주 자리를 놓고 예상되는 주도권 다툼 등은 오히려 넘기 쉬운 벽일 수도 있다.
물론 충청권 정치세력화의 한계점도 많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보수와 진보를 등에 업고 국내 정치지형도를 거의 양분한 상태다. '동상이몽'인 상태로 가치 및 정책 중심으로 국민 마음속으로 파고든다는 것은 참으로 어렵다. 정치연합이나 정당 창당, 그리고 대선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 역시 묵직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정치발전의 걸림돌로 지목되는 지역패권주의라는 정치적 환경과 현실 속에 함몰된다면 제자리걸음에 그칠 것이다. 여야 각 정당은 사실상 전략지인 충청권에서 새로운 역할을 찾고 있는 중이다. 지역민이 충청권을 기반으로 한 이합집산하는 지역정당의 탄생을 그다지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이 제3지대론의 한계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새 정치적 결사체를 전제로 하건 안 하건 기존 정당의 한계에 대한 분명한 인식과 뼈아픈 자성에서 출발해야 한다. 국민은 단지 새롭다는 것만이 아니라 폭넓은 정치를 구현할 바람직한 주역을 원한다. 변화에 대한 갈망을 읽지 못하고 이에 부응하지 못하면 정치적 생존은 어렵다. 스스로 '새로운 정치 물결'이 되는 것, 변화와 쇄신이 휘몰아치는 정국에서의 생존법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