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학교를 비롯해 교육청과 대학까지 연일 감사와 수사를 받으면서 불똥이 튀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관행이라는 명분으로 부적절한 행위가 근절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뚜렷한 증거없이 교육비리 척결을 명분 삼아 꼬투리 잡기 식의 무리한 감사나 수사는 지양해야 한다는 볼멘소리도 나오고 있다.
10일 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최근 경찰이 서구지역 관내 초등학교 5곳과 중학교 3곳의 수학여행 비리에 대한 수사를 진행했다.
학교장을 비롯해 관계자 상당수가 소환조사를 받은 것은 물론 방대한 자료 요구에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관할 교육지원청은 연관된 학교 파악에 분주한 모습이었고 해당 학교는 업무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였다.
충남도교육청 역시 지난 3월부터 한달 넘게 교육과학기술부 감사를 받았다.
최근에는 감사원 예비감사를 받았으며 다음주부터는 본감사를 받아야 할 상황이다. 지난 교과부 감사가 강도 높게 진행되면서 관련 부서 직원들은 요구자료 제출 준비에 바쁜 일정을 소화하는 등 본 업무를 처리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하지만 감사원 감사는 더욱 강도 높게 진행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도교육청이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이번 감사원 감사는 대규모 시설공사 비리에 대해 집중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대규모 시설공사의 자금은 정부 차원에서 내려온 예산이어서 감사원 역시 이에 대한 철저한 감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교육청 한 관계자는 “지난 3월부터 교과부로부터 한달 이상 감사를 받았고 이번에 감사원으로부터 2주 가량 감사를 받으면 '상반기는 감사로 끝나겠다'라는 볼멘소리도 나온다”라며 “관행이라는 명분으로 자행되는 부적절한 비위행위나 교육비리 척결은 이해하지만 다소 무리하게 진행돼 업무 부담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국립대인 충남대 역시 지난 2일부터 국가권익위원회의 감사를 받고 있다.
당초 3일간 진행되기로 했던 이번 감사는 하루가 늘어난 4일간 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학교의 예산 집행 내역과 총장의 법인카드 사용 내역은 물론 조직 직제상 총장 직속으로 설치된 비서홍보실까지 감사를 진행하고 있어 어느 때보다 긴장하고 있다.
충남대 관계자는 “비서홍보실까지 자료요구를 한 적이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번에는 세밀하게 살피는 것 같다”라며 “처음이라 당황도 되지만 근거에 따라 예산을 적정하게 집행한 만큼 문제 될 소지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