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위원회는 지난달 28일 회의에서 나온 시·군별 정량평가 점수와 11일 입지분과위 회의에서 나올 정성평가 점수를 각 50%씩 반영해 상위 5개 시·군으로 압축할 계획이다.
10개 시ㆍ군 가운데 충청권 3곳 모두가 포함될지 여부가 관전 포인트다.
지역 과학계가 내놓은 시나리오는 대략 2가지다. 이 시나리오는 천안과 충북 가운데 적어도 1곳은 빠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는 한나라당의 4·27 재보선 실패 여파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가 3개 지역에 나눠지는 '삼각 분산 배치'로 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관측이다.
과학계 일각에서 지난 10일 오후부터 떠돌고 있는 과학벨트위가 대전, 대구, 광주 순서로 높은 점수를 줬다는 소문이 그 근거다.
과학벨트 거점지구 후보지 평가에서 대전, 대구, 광주가 상위에 오른 것은 '세종시 과학벨트 공약' 철회 논란이 빚어진 뒤 정부가 유력하게 검토해온 대전·대구·광주 삼각벨트 구상과 일치하는 셈이다.
둘째 시나리오는 포항으로 가는 것이다.
과학벨트와 함께 주목을 받았던 뇌연구원 유치 경쟁에서 대전과 인천이 포기한 상태로 대구행이 거의 확실시 되기 때문에 대구에 과학벨트까지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 시나리오는 중이온 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포항과 세종시에 나눠 설립하자는 정치권 일각의 주장 때문에 유력안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 한나라당 구주류의 퇴보와 신주류의 득세로, 형님벨트(포항) 관철은 정치적인 부담이 커 '힘'을 상실해가고 있다는 게 일반적 시각이다.
과학벨트위 관계자는 “세 곳이 워낙 유력해 11일 뽑힐 다른 2개 시·군은 사실상 '들러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정부가 과학벨트 입지를 선정할 때 정치논리에서 탈피하겠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 그렇게 되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과학기술계 현장에서는 과학벨트 삼각분산 배치론이 설립취지나 효율성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 대체적인 여론이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등 과학기술계 단체들도 그동안 줄기차게 과학벨트가 정치적 논리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과학벨트위는 지난달 28일 가용면적 165만㎡(약 50만평) 이상을 보유한 시·군 39곳(수도권 제외) 중 정량평가(수치로 평가)를 통해 10곳을 추렸다. 10곳에는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울산 등 5개 광역시와 포항, 창원, 천안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배문숙 기자 moon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