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길]숲가꾸기로 건강하고 풍요로운 숲을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이상길]숲가꾸기로 건강하고 풍요로운 숲을

[금요논단]이상길 산림청 차장

  • 승인 2010-07-08 13:44
  • 신문게재 2010-07-09 20면
  • 이상길 산림청 차장이상길 산림청 차장
세종대왕 때 지어진 용비어천가 중에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라는 글귀가 있다. 이 글은 국가든 개인이든 기초가 튼튼해야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다는 의미로 많이 인용되고 있다. 직역하면 “나무의 뿌리가 튼튼하면 비와 바람에 쓰러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건강한 나무와 숲의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 이상길 산림청 차장
▲ 이상길 산림청 차장
우리나라의 여름철 산사태는 대부분 지표 아래 1~2m 토양이 붕괴돼 발생하는데 이는 지질적 인자의 영향도 있지만, 붕괴 깊이가 얕은 경우 뿌리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숲가꾸기를 통해 나무뿌리의 말뚝효과와 그물효과를 크게 증진시키면 산사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말뚝효과는 수직으로 뻗는 나무의 곧은 뿌리가 암반층까지 침투해 땅을 고정시키는 것이며 그물효과는 나무의 가는 뿌리들이 서로 얽혀 그물망을 형성하여 흙이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붙잡는 효과를 말한다.

산에 나무를 처음 심을 때 나무간의 경쟁을 유도해 곧고 빠르게 자라도록 하기 위해 통상 ha당 3000그루의 어린 묘목을 심는다. 심은 후 약 10년 이상 지나면 나무들 사이에서 우열이 나타나는데 이 시기에 솎아베기를 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면 숲은 성장을 멈추게 되고 나무 사이로 햇볕이 들지 않아 각종 재해에 취약해진다. 따라서 사람이 성장하면서 단계별로 교육을 받는 것처럼 숲도 적기에 숲가꾸기를 해주어야만 환경적·생태적 건강성이 더욱 증진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이 숲가꾸기를 해준 지역과 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산사태 발생을 비교한 결과, 숲가꾸기 작업을 한 후 5년 정도 지나 임지가 안정화되면 숲가꾸기를 실시한 곳이 하지 않은 지역에서보다 최대 43%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숲가꾸기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뿌리생장이 촉진되어 산사태 발생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즉, 숲가꾸기를 한 숲은 장기적으로 재해에 강한 산림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꾸어 준 숲의 나무는 그렇지 않은 나무에 비해 뿌리의 양은 5배 이상 더 늘어나고 뿌리 깊이는 2배 이상 확장되기 때문이다.

선진국들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숲을 가꾸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은 '건강한 산림복구를 위한 법률(Healthy Forests Restoration Act)'을 2003년에 제정하여 산림의 건강성 회복에 노력하고 있다.

일본도 2007년부터 2012년까지 기후변화에 대응한 탄소흡수원 대책의 일환으로 330만ha(연간 55만ha)의 숲가꾸기를 추진 중이다. 숲이 인간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원천이기 때문이다.

산림청은 올해 23만ha에 대한 숲가꾸기를 실시해 숲의 건강성을 높여 갈 계획이다. 치산녹화기에 심어 놓기만 하고 제대로 가꾸어 주지 못한 숲이 아직도 161만ha에 달한다. 이러한 숲을 가꾸어 건강한 숲으로 키우면 산사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무의 생장도 촉진시켜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증가하고, 병해충에 대한 저항력 강화, 맑은 물도 공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숲이 건강해지면 우리의 삶도 건강해지고 풍요로워 질 것이다. 숲을 잘 돌보고 가꾸는 것은 우리의 의무다. 본격 장마철을 앞두고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오늘도 숲가꾸기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이들의 노고는 우리 후손들이 누릴 쾌적한 환경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장대삼거리 구간·둔곡교차로 BRT 정류장 공사 올스톱
  2. "부끄러운 건 파업이 아니라 우리의 반응" 대전 급식 갈등 A고에 붙은 대자보
  3. 이장우 불출마 선언... "대통령실 세종과 대전 경계선에 이전하자"
  4. 대전 월평동 싱크홀 왜?… 30년 된 노후 하수박스 때문
  5. 대통령실 이전 '대전과 세종 경계선' 발언은 왜
  1. 휴대전화 뺏었다고 교사 폭행... 무너진 교권, 대책은 없나
  2. "합격자 정원축소" 목소리 내는 변호사계… 지방 법조인 배출 영향 신중론도
  3. 충청권 매출 성장 1위 기업은 어디?
  4. 음주운전 사망사고 발뺌 30대 '징역 8년' 선고
  5. '美 품목 관세 영향권' 대전 자동차 부품업계 긴장감 고조

헤드라인 뉴스


휴대전화 뺏었다고 교사 폭행... 무너진 교권, 대책은 없나

휴대전화 뺏었다고 교사 폭행... 무너진 교권, 대책은 없나

서울의 한 고교에서 고3 학생이 수업 중 휴대전화 게임을 제지하는 교사를 폭행한 사건이 발생해 지역 교육계 공분이 이어지고 있다. 무너진 교권의 참상이 극명히 드러난 것이라는 지적 속에 교육당국의 구체적 휴대전화 지침 수립과 재발 방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15일 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4월 10일 서울 양천구 A 고교에서 학생이 휴대전화를 쥔 손으로 교사의 얼굴을 가격하는 일이 발생했다. 해당 학생은 수업시간에 휴대전화 게임을 교사가 지적하자 이런 행동을 한 것으로 알려져 서울시교육청이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전국 곳..

`행정수도론`에 과도한 견제 심리...2025년엔 제 길 갈까
'행정수도론'에 과도한 견제 심리...2025년엔 제 길 갈까

2004년 1월 '신행정수도특별법 공포 후 10개월 만에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 2020년 7월 '행정수도 이전 선언과 특별법 제정 움직임, 이후 6개월 만에 좌초, 수도권 땅 투기 논란으로 흡수', 2025년 6월 '대선 국면의 행정수도 개헌론과 특별법 재심 의제 수면 위 그리고 ???'. '세종시=행정수도' 담론이 이번에도 암초를 만나 좌초되는 역사에 놓일 것인가. 아니면 거스를 수 없는 역사적 대의로 자리매김할 것인가. 수도권 초집중·과밀과 국가 불균형, 지방소멸·고령화·저출산이란 국가·시대적 위기 요소를 고려하면, 더는..

"지역 청년 다 떠날라" 충남 청년 구직자 대상 직접지원 대폭 축소
"지역 청년 다 떠날라" 충남 청년 구직자 대상 직접지원 대폭 축소

충남도 내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인건비 지원사업이 대폭 축소됐다. 충남경제진흥원은 인건비 지원과 같은 직접지원에 형평성 문제가 있다며 인턴 사업 등 간접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제조업 중심으로 산업군이 형성된 충남에서 실효성이 있을지에 대한 우려는 끊이질 않고 있다. 15일 충남경제진흥원(이하 진흥원)에 따르면 인건비를 지원하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예산은 2023년 121억 8000만 원에서 2024년 60억으로 감액 편성됐다.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은 도내 청년층의 지역 정착 활성화와 미래 신산업·지역..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씨 없는 포도 ‘델라웨어’ 전국 첫 출하 씨 없는 포도 ‘델라웨어’ 전국 첫 출하

  • 대한민국 대표 과학축제 `202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하루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 과학축제 '202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하루 앞으로

  • 부처님 오신 날 앞두고 연등 장식 부처님 오신 날 앞두고 연등 장식

  • ‘더웠다, 추웠다’ 변덕스러운 봄 날씨 ‘더웠다, 추웠다’ 변덕스러운 봄 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