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범시민적 관심 절실해진 ‘지구’

  • 오피니언
  • 사설

[사설]범시민적 관심 절실해진 ‘지구’

  • 승인 2007-04-18 00:00
  • 신문게재 2007-04-19 21면
지구의 날(21일)을 앞두고 지역에서는 이를 기념하는 여러 행사들을 준비하고 있다. 그중 대전녹색소비자연대 등 환경 및 소비자단체가 벌이는 우산 고쳐 쓰기, 세제 없는 아크릴 수세미 뜨기와 같은 실천적 주제가 눈에 띈다. 지구 온난화 방지, 온실 가스 줄이기를 막연하고 멀게만 느끼는 시민들의 활발한 참여가 기대된다.

지속가능한 대전은 특히 환경 부문에서도 명제가 되어야 한다. 누구도 비켜갈 수 없는 인류의 생존적 위협에 우리가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이유는 국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6위라는 사실에도 있다. 위기의식을 갖고 정부, 사회, 기업, 그에 못지않게 시민 각자의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대전과 같은 대도시일수록 공기, 땅, 물, 생태계 어디에든 나타나는 위기 징후에 대비를 서둘러야 한다. 기상재해 사망자보다 이상고온으로 숨지는 사람이 많다는 환경부의 예측 사례도 경각심을 더해준다. 대전의 온도 1도 낮추기 등 기후변화 대응 노력은 일부 환경단체만이 아닌 범시민적 의제가 되어야 마땅하다.

비단 대전의제일 뿐 아니라, 환경파괴로 인한 안보 문제가 사상 최초로 유엔안보리의 의제가 될 만큼의 전지구적인 과제다. 대전시의 자전거타기운동도 교통적 수요는 물론 환경적 측면에 보다 치중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생활화해야 한다. 기후변화의 원인 제공자도 해결자도 바로 시민이라는 결자해지 정신이 요구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최근 아파트 밀집으로 인한 재앙 현실화를 우려하는 대전·충남녹색연합의 어린이 환경성 질환 실태 조사는 시사점이 크다. 일례로 아파트가 밀집된 둔산지역 천식 유병률이 15.5%로 외곽지역보다 3배나 높게 나타난 것이다. 환경에 관한 대차대조표를 생각하면 사라진 광장을 시민에게 돌려달라는 대전환경운동연합의 외침도 예사롭게 들리지 않는다.

우리 생태환경을 둘러보면 대전시민 각자가 인간과 환경, 인간과 도시를 하나로 생각해야 할 때라는 명백한 증거는 많다. 기후변화의 시계를 멈추는 길이 무엇이겠는가. 모쪼록 이번 지구의 날은 개발의 빛과 그림자를 숙고해보면서, 기념만 하지 말고 실천하는 날이 되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결국 '결별'…대전 둔산2지구 통합 재건축 추진준비위 두 곳 출범
  2. '세종시=행정수도' 명운 달린 대선...지방의 대통령 어디 없나
  3. 충남경찰청, 교통 무질서 행위 단속… 2시간 만에 113건 적발
  4.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남다른 한국 사랑, 대전·충남에 깊은 인상
  5. '사랑나눔 문화확산' 중기중앙회 대전서 러블리콘서트
  1.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첫 한국인 교황 탄생 가능할까 "유흥식 추기경 유력 후보"
  2. 충남에 '철도IT 운영센터' 생긴다… 2027년 2월 준공
  3. 충남도,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 예타통과 위한 본격 대응나서
  4. 28년간 제자 가르쳐온 퇴직교사, 직접 제작한 교재 23점 충남교육청으로
  5. 충남도의회 '학교폭력 예방 및 교육공동체 역할 모색' 의정토론회 개최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 사업 정상궤도 진입 가능할까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 사업 정상궤도 진입 가능할까

수년째 출발선에 서지 못하고 있는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신탄진~계룡) 사업이 정상 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공사비 증가로 사업이 공회전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정부가 협의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24일 대전시와 국가철도공단 등에 따르면 국가철도공단은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 사업과 관련해 후속 공정을 추가한 총사업비를 두고 기재부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은 당초 2023년 말 착공 예정이었으나, 지장물 이설 공사비 증가에 설계적정성 검토를 다시 받으면서 사업 기간이 늘어졌다. 여기에 최근에 신규..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세종 아파트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1년 5개월여 동안 30~40%가량 하락했던 세종시 집값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이전 수준까지 회복할지 주목된다. 여기에 세종시와 인접한 대전 등 지역이 '풍선효과' 수혜를 받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2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4월 셋째 주(21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0.23% 상승해 전주(0.04%) 대비 무려 6배 가까운 급등세를 보였다. 2023년 11월 20일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세종 집값은 지난주 70주..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28년 만에 괘불 국보 추가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28년 만에 괘불 국보 추가

우리나라 괘불도 양식의 시초로 평가받는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가 국보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불화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괘불도(掛佛圖)'는 사찰에서 야외 의식을 할 때 거는 대형 불화로, 조선 후기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됐다. 현재 전국에 약 120여 점이 전하며, 이 가운데 국보 7점, 보물 55점이 포함돼 있다. 이번 국보 지정은 1997년 7점의 괘불이 동시에 지정된 이후 약 30년 만이다. 국가유산청은 "화기(畵記) 등 기록을 통해 제작자와 제작..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

  • ‘프란치스코 교황이 탑승했던 카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탑승했던 카트입니다’

  • 옷가게는 벌써 여름준비 옷가게는 벌써 여름준비

  •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