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하게 보관하고 있다면 그나마 봐줄 만하다. 그러나 원자력안전기술원의 원자력연구소에 대한 정기검사 결과를 보면 그렇지도 못하다. 일부 폐기물 저장용기에서 부식이 진행되고, 사용후 핵연료봉이 설계와 달리 적정량을 초과해 적재돼 있는 등 지적사항이 무려 54가지나 된다.
이런 상황에 누가 저장고의 안전성을 장담할 수 있겠는가. 지난 국감에서 권선택 의원은 고리 등 원자력발전소 지역보다 원자력연구소 주변 방사선 피폭량이 최고 47배나 높다고 지적했다. 연구소 주변의 피폭량이 유독 높은 이유가 방사성폐기물 부실 관리 때문은 아닌가.
연구소나 과학기술부는 피폭량이 기준치 이내로 인체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만 할 게 아니다. 왜 이 지역이 유독 방사선 노출 수치가 높은지 규명해야 한다. 인체에 영향이 없다고 해도 피폭량이 높다는 것은 문제다. 철저한 조사와 함께 폐기물 저장고의 안전 및 관리체계를 엄격하게 점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점검내용과 조치를 최대한 투명하게 공개해 지역 주민들의 불안과 불신도 해소해야 한다.
시민단체의 원자력 안전망 구축 요청을 받아들였으면 한다. 연구소의 잇단 방사능 물질 누출과 폐기물 저장고 관리 부실은 국가보안을 이유로 폐쇄적으로 운영된 탓도 크다. 이제라도 실상을 공개하고, 시민들로부터 검증을 받을 필요가 있다. 쉽지 않겠지만 그것이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길이기도 하다.
방사성 물질의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고준위 폐기물의 경우 누출시 인체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힌다. 바늘구멍 만한 틈새에 의해서도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폐기물 보관에 대한 투명성과 안전관리 의식이 한층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